▲가덕도신공항 홍보 영상. 사진=부산시
부산=에너지경제신문 조탁만 기자 최근 국토교통부가 가덕신공항 부지 조성 공사 기한을 기존 84개월에서 106개월로 결정하고 연내 재입찰 방침을 발표하자, 지역 사회가 들썩인다.
부산상공회의소는 24일 “가덕신공항 용지조성 공사 재입찰 발표는 뒤늦었지만, 필수적인 조치다"고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이는 잠정 보류된 사업의 정상화 자체에 의미를 둔 것으로 평가한 것이다.
이견이 더 많다. 부산시민단체협의회 등 20개 시민단체로 구성된'신공항과 거점항공사추진 부산시민운동본부'는 같은날 “부울경 주민들을 기만하는 결정"이라며 “가덕신공항 부지조성공사 106개월 공기연장 혼선을 초래한 것에 대해 책임자를 문책해야 한다"고 반발했다.
가덕도허브공항시민추진단 등 12개 시민단체도 “수요예측도 고려하지 않은 채 활주로 1본으로 계획을 강행했지만, 오히려 공기가 늘어나는 결과를 낳았다"고 지적했다.
부산시도 비판적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지난 21일 국토부가 가덕신공항 공사 기간을 106개월로 발표하자 기자회견을 열고 “적기 개항을 바라는 시민의 바람을 외면했다"라며 “남은 행정절차라도 최대한 빠르게 추진해 조속한 시일 안에 착공해야 한다"고 강한 유감을 표했다.
국민의힘 부산시당도 성명을 내고 “84개월이 타당하다던 국토부가 스스로 원칙을 부정했다"고 비판했다.
한편, 국토부와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은 지난 21일 가덕신공항 부지조성공사 입찰 방침을 발표했다.
공사 기간을 106개월로 한 입찰 공고를 연내에 낸다는 게 골자다. 다만, 106개월은 그동안 국토부가 제시한 84개월(7년)보다 22개월 더 늘어났다.
이를 두고 지역에선 비판의 시각이 나온다. 앞서 부산 가덕도 신공항의 공사 우선협상 대상자인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당초 공사 기간보다 2년이 늘어난 내용 등을 담은 기본설계안을 국토부에 제출했다. 이 때 협의가 이뤄지지 않아 현대건설이 사업에서 철수했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