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대거교체 속 이영준 롯데케미칼 대표 유임
HQ체제 폐지에도 화학군 총괄조직 축소 존치
대산 이어 여수공장도 사업 재편안 마무리해야
첨단·수소·전잔 등 고부가 소재 경쟁력도 과제
▲이영준 롯데케미칼 대표(왼쪽에서세번째)가 인도네시아 라인프로젝트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롯데케미칼
롯데그룹이 26일 임원 인사 발표와 함께 사업 부문별 총괄을 두는 '헤드쿼터(HQ)'제를 폐지하면서 화학군은 총괄 기능을 맡는 조직을 남겨뒀다. 화학 사업부문도 사업 부문·계열사별 체제로 돌려놓되, 국내 석유화학 산업 구조조정 국면에서 그룹 화학사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마련하고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날 롯데지주에 따르면, 롯데그룹은 2017년 도입했던 비즈니스 유닛(BU) 체제와 2022년 도입한 HQ체제를 폐지하고 각 계열사의 독립·책임 경영을 강화하기로 했다. 다만, 화학군은 전략적 필요성을 고려해 HQ 조직을 포트폴리오 전략실(PSO)로 변경한다.
이영준 롯데 화학군 총괄대표 겸 롯데케미칼 및 기초소재사업 대표이사는 유임됐다. 부회장단 4인이 모두 물러나고 유통·건설부문 계열사 수장들을 비롯해 전체 최고경영자(CEO)의 3분의 1을 교체하는 등 쇄신 기조가 두드러졌던 것과 비교하면, 화학 사업은 안정에 방점을 찍은 셈이다.
화학군 계열사에서는 롯데케미칼 첨단소재사업 대표이사로 주우현 전무가, 롯데지에스화학 대표이사로 신승환 상무가 내정됐다.
롯데그룹은 롯데 화학군을 대상으로 지난해 이미 주요 경영진을 '물갈이'하는 신상필벌 쇄신 인사를 단행한 바 있다. 이영준 화학군 총괄도 지난해 쇄신인사를 통해 임명됐다.
전반적으로 안정 인사 기조를 보인 롯데 화학군은 석화산업 구조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뤄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구조조정의 경우 충남 대산과 전남 여수 두 곳에 위치한 롯데케미칼 석화공장의 사업 경쟁력을 복원해야 한다. 대산 산업단지에서는 롯데케미칼 대산 공장을 HD현대케미칼로 넘기고, HD현대오일뱅크와 롯데케미칼이 각각 60%, 40% 보유한 HD현대케미칼 지분을 반반으로 조정하는 사업 재편안을 산업통상부와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출했다. 8월 정부와 석화업계, 금융권이 석화산업 구조조정 자율협약을 맺은지 3개월여만의 첫 빅딜이다.
이와 같은 자구안을 마련한 만큼 롯데케미칼은 에틸렌을 생산하는 나프타분해설비(NCC)를 어떻게 축소하고, 생산 구조를 고부가가치 소재 위주로 강화할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다. HD현대오일뱅크와 최대의 시너지 효과를 낼 전략도 찾아내야 한다.
여수 석화산단에 위치한 공장도 한화와 DL 측의 합작사 여천NCC와 설비 통폐합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롯데케미칼 여수공장과 여천NCC가 각각 연산 123만톤, 228만톤의 NCC를 보유해 구조재편 셈법이 좀더 복잡하다. 정부가 연내 사업 재편안 제출 시한을 못박고 이를 넘기면 세제, 금융지원을 제공하지 않겠다는 엄포를 놓으면서 시간이 더 촉박해졌다.
첨단 소재와 수소 사업, 모빌리티용 소재 사업 등 고부가가치 소재 중심으로 사업 구조를 전환하는 과제도 안았다. 롯데케미칼은 스티렌모노머(SM), 아크릴로니트릴(AN) 등의 원료를 활용해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PC), 건자재 제품을 제조하고 있다. 염소·암모니아·셀룰로스 계열의 제품을 생산하는 정밀화학 사업과 ESS 등에 쓰이는 제품을 만드는 전지소재 사업도 비중을 늘려야 한다. 아울러 수소 에너지 공급망 구축, 전장(모빌리티)용 소재 고도화도 사업구조 전환 중점 사항으로 꼽힌다.
지난달 준공한 인도네시아 찔레곤 소재 공장도 역내 시장 입지 확보와 사업 수익성 개선을 위해 생산을 안정화해야 한다. 인도네시아는 에틸렌 자급률이 절반 수준이라는 점에서 롯데케미칼의 인도네시아 준공과 상업가동은 국내 석화산업 경쟁력 부진으로 약해진 롯데케미칼 수익성을 끌어올릴 핵심 사업으로 꼽혀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