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반도체 공급난에 희비 교차…삼성·SK하이닉스 주가 ‘방긋’, 소비자는 ‘울상’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11.27 12:02

메모리 반도체 가격 내년 상반기까지 50% 추가 상승 전망
AI용 칩에 생산 집중… 엔비디아 우선순위 영향
델·HP, 가격 인상 예고… 레노버는 비축 경쟁
삼성·SK하이닉스 주가 고공행진…日 키옥시아는 420% 껑충

USA-CHINA/SHENZHEN

▲중국의 한 전자제품 매장(사진=로이터/연합)

인공지능(AI) 투자 열풍으로 메모리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가 내년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수익성이 높은 AI 데이터센터용 메모리 생산에 집중하면서 범용 메모리 반도체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제조사들의 주가는 최근 몇 달 새 큰 폭으로 상승했다. 글로벌 가전업계는 이미 제품 가격 인상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는 최근 보고서에서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이번 분기에 30%, 내년 2분기까지 20% 추가로 더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메모리 반도체 가격은 올들어 이미 50% 상승한 상태다. 연초와 비교하면 내년엔 가격이 두 배까지 뛸 수 있다는 것이다.


메모리 반도체 공급난이 현실화될 경우 스마트폰, 의료기기, 자동차 등 거의 모든 제조업에서 비용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메모리 반도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거의 모든 제품에 필수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이달 초 개최된 'SK AI Summit(서밋) 2025' 기조연설에서 메모리 반도체 공급 부족 가능성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 그는 “공급이 병목이 되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며 “많은 기업들로부터 메모리 반도체 공급 요청을 받고 있어서 이걸 다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고민이 깊다"고 말했다.


이에 업계에서는 공급난에 대응하기 위해 제품 가격 인상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다.



미국 PC·서버 제조업체 델의 제프 클라크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전날 회계연도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이런 수준의 비용 상승을 본 적이 없다"며 DRAM부터 하드드라이브, 낸드플래시 메모리 등에서 전반적으로 공급이 빠듯해졌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모든 제품군에 걸쳐 원가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며 공급난에 따른 비용 증가분이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 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델은 일부 제품의 가격 재책정을 포함해 모든 대응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의 또다른 PC 제조기업인 HP의 엔리케 로레스 CEO 역시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내년 하반기부터 필요시 가격 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2026년) 하반기 가이던스에 대해서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공급망 다각화, 메모리 탑재 축소 등의 대응책을 공격적으로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HP 측은 메모리 반도체가 일반적인 PC 제조비용의 15~18%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했다.



아이폰 제조업체 애플의 케반 파레크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메모리 가격에 약간의 상승 요인이 있다"며 “신제품 일부는 비용 구조가 다소 높다"고 했다.


중국 가전업체 샤오미는 주력 제품들의 가격을 이미 인상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샤오미는 메모리 반도체 공급부족으로 내년부터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 가격도 인상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국 PC 제조사 레노버의 윈스턴 쳉 CFO는 최근 블룸버그TV에 출연해 가전제품 가격이 전례 없는 수준으로 상승하고 있다며 메모리 반도체 최대한 비축해 공급망 리스크에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만 니트북 제조사 에이수스(ASUS) 역시 재고 확보에 나섰다. 레노버와 에이수스는 올 연말까지 가격을 동결하되 내년엔 시장 상황을 재검토할 계획이다.


메모리 반도체 공급난의 핵심 원인으로는 AI 데이터센터 수요가 지목되고 있다. 반도체 제조사들이 수익성이 높은 AI용 고성능 메모리 생산에 집중하면서 기존 범용 메모리의 생산량이 상대적으로 밀리고 있다는 것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중국 최대 파운드리 기업 SMIC는 반도체 제조사들이 엔비디아와의 거래를 더 우선시함에 따라 메모리 반도체 공급 부족이 임박했다고 전했다. SMIC 측은 공급난 여파로 자동차, 전자제품 등의 생산도 덩달아 위축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CLSA증권 코리아의 산지브 라나 리서치 총괄은 “메모리와 연관된 모든 제품의 수요가 강한 반면 공급은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DRAM과 낸드플래시 가격 상승세가 앞으로 몇 분기 더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흐름 속에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의 주가는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주가는 재고 감소와 공급 부족 우려가 가시화되면서 최근 몇 달간 급등했다. 낸드플래시를 주력으로 하는 일본 반도체 업체 키옥시아홀딩스 주가도 지난해 12월 상장 이후 420% 넘게 치솟은 상황이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