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가계 예대금리차 0.04%p 감소
수신금리 오르며 두 달 전보다 0.06%p↓
시장금리 상승·예대금리차 확대 부담
“기준금리 인하 지연시 대출금리 상승 지속”
▲대출 금리보다 수신 금리가 더 큰 폭으로 상승하며 5대 시중은행의 가계 예대금리차가 두 달 연속 축소됐다. 사진은 서울의 한 시중은행.
5대 시중은행의 가계 예대금리차가 두 달 연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금리보다 수신 금리가 더 큰 폭으로 상승한 결과다. 시장금리 오름세가 이어지자 은행들은 수신 금리를 높이고 있다.
26일 은행연합회 공시를 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정책서민금융 제외 평균 가계예대금리차는 지난 10월 1.42%포인트(p)로 전월 대비 0.04%p 축소됐다. 지난 8월 1.48%를 기록한 후 두 달 연속 감소했다.
은행별로 보면 신한은행 1.52%p, 농협은행 1.48%p, 우리은행 1.41%p, 국민은행 1.38%p, 하나은행 1.33%p를 각각 기록했다. 신한은행만 전월 대비 0.06%p 높아졌고, 농협은행은 0.12%p, 국민은행은 0.04%p, 하나·우리은행은 0.03%p 각각 감소했다.
가계 예대금리차는 가계대출 금리에서 저축성 수신금리를 뺀 값으로, 이 수치가 커지면 은행은 더 많은 이자이익을 얻는다. 앞서 정책서민금융 제외 가계예대금리차는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상승세를 보였다.
은행의 가계 예대금리차가 두 달 연속 줄어든 것은 시장금리 인상에 따라 수신 금리가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세 차례 동결하자 시장에서는 금리 인하가 지연될 것이란 전망이 확산되며 시장금리가 상승하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은행채(무보증·AAA) 1년물 금리는 지난달 1일 기준 2.587%에서 이달 26일 기준 2.775%로 0.188%p 높아졌다.
이에 따라 하락세를 보이던 저축성수신금리는 지난 8월 2.49%에서 9월 2.52%, 10월 2.57%로 두 달 새 0.08%p 올랐다. 반면 정책서민금융 제외 가계대출 금리는 지난 8월 3.97%에서 9월 3.98%, 10월 3.99%로 같은 기간 0.02%p 오르는 데 그쳤다.
은행들이 예대금리차 확대 부담이 커지자 수신 금리를 올린 측면도 있다. 기준금리 인하기에도 은행들은 가계대출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대출 금리를 높게 유지했고, 올해 예대금리차는 꾸준히 확대됐다. 지난 9월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국민이 체감하는 예대마진이 생각보다 높고 이것이 지속되면 국민이 납득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가산금리 수준과 체계 점검을 요구하기도 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예대금리차 확대가 지속되며 정부와 금융당국의 지적이 이어졌고, 은행들은 수신금리를 높여 예대금리차를 줄이려는 움직임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예대금리차 축소 흐름이 이어질지는 불확실하다. 가계대출 지표 금리가 오르며 가계대출 금리 상승 압력도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채 5년물 금리는 이달 26일 기준 3.342%로, 지난달 1일(3.025%) 대비 0.317%p 상승했다. 현재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최고 연 6%를 넘어섰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더 늦춰지면 시장금리가 더 오르고 대출 금리 상승세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