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 차기 회장…빈대인, ‘현직 프리미엄’ 가져갈까?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11.28 20:26


BNK금융그룹.

▲BNK금융지주.

부산=에너지경제신문 조탁만 기자 BNK금융지주의 차기 회장 후보군이 모두 부산은행 출신으로 추려졌다. 빈대인 BNK금융지주 회장, 방성빈 BNK부산은행장, 김성주 BNK캐피탈 대표, 안감찬 전 부산은행장 등 4명이다.


BNK금융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는 26~27일 1차 회장 후보군(롱리스트) 7명을 대상으로 한 프레젠테이션(PT) 심사와 면접을 진행, 이같은 후보군을 결정했다고 28일 밝혔다.


후보군들을 찬찬히 들여다 보면, 연임에 도전하는 빈 회장은 최근 부동산 불황에서 PF 관리 능력을 가장 높게 인정받고 있다.



지역 금융권에선 2020년 초부터 촉발한 글로벌 경기 침체와 부동산 시장 위축 상황에서 지역금융의 '구원투수' 역할을 했다는 평이 주를 이룬다. 취임 후 2024년 BNK금융 그룹의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13.9% 증가한 7285억 원이다. PF 요인을 제외하면 8424억 원 규모인데, 이는 2년 연속 8000억 원대를 유지한 것이나 다름없다.


또 기업의 수익 지표를 나타내는 자기자본이익율(ROE·6.92%)와 자산수익율(ROA·0.49%)도 모두 개선됐다. 그럼에도 지역 경제 침체가 지속되면서 BNK금융지주의 자산건정성도 챙겨야 하는 부담은 모든 후보들이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다. 이런 가운데 현직 프리미엄을 안고 있는 빈 회장의 경우 금융기관의 부실 대출을 포함하고 있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을 줄여 나갈 수 있는 영속 가능한 '경영 적임자'로 꼽힌다.



방성빈 부산은행장은 지역 은행으로서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데 초점을 둔 금융 정책을 펼치고 있다. RG발급, 지역 창업기업, 스타트업 지원과 육성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지역경제 희망센터 신설 등 금융 정책이 대표적이다. 이와 함께 그는 빈 회장 체제에서 최근 부동산 불황과 연계된 PF 부실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해수부 이전 등 새 정부 기조의 금융 정책 추진에 구심 역할을 하는데 힘을 보태고 있다.


김성주 BNK캐피탈 대표는 캄보디아, 미얀마 등 해외법인을 다수 유치했다. 다만 그의 성과는 아직 때가 이르지만 조금 지나면 가시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밖에 금융권 내에선 과거 부산은행 임원 경쟁에서 밀려 계열사로 나간 만큼, 다시 그룹으로 복귀하는 사례가 극히 드물다는 금융권 내부 시각이 나온다.


이들 후보군 중 유일하게 외부 인사인 안감찬 전 부산은행장은 코로나 19 여파로 꺾인 수익 구조 개선에 공을 세웠다. 다만, 무리하게 투자처를 확대한 전략은 최근까지 '경영 리스크'로 남아 있다. 특히 재임 내내 부동산 개발 관련 대출(PF)을 무리하게 확장하다 금융감독원의 제제를 받았다. 실제 2022년 5월 PF 축소 확약서를 제출했는데도, 그는 이에 아랑곳 하지 않고 이후에도 PF 여신 확장에 집중했다.


이를 두고 추후 BNK 그룹 회장 선거를 고려해 자신의 실적을 부풀리기 위한 '무리한 행보'로 보는 내부의 시각이 크다. 안 전 은행장은 2023년 BNK그룹 회장 선거에 나섰지만 결국 고배를 마셨고, 그가 만들어 놓은 'PF 부실 리스크'는 빈대인 회장이 고스란히 떠안게 됐다.



이들 중 한 명은 내달 8일 임추위의 심층면접을 거쳐 BNK금융지주의 회장으로 선출된다. 이어 내년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승인되면 공식 취임한다. 임기는 2029년 3월까지다.



조탁만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