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건물용가스보일러 14개 업체 총 244건 인증…대열보일러 75건 1위
![]() |
▲대열보일러가 지난 3월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열린 ‘제14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에 선보인 신제품 고효율 울트라 저녹스 관류보일러(DQi-200PG). |
2위 (주)부-스타 39건, 3위는 대림로얄이앤피(주) 34건 ‘빅3’ 이름 올려
[에너지경제신문 여영래 기자] 산업 및 건물용 보일러의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은 산업·건물용 가스 및 기름보일러, 기름연소·가스진공 보일러 등 4개 제품군으로 구분해 인증서를 발급하고 있다.
현재 이 같은 산업용보일러는 한국에너지공단이 에너지를 사용하는 기기의 효율향상과 고효율제품의 보급 확대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 추진하고 있는 3대 효율관리제도인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제도 △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제도 △대기전력저감프로그램 등 에너지효율관리 중점 프로그램 중의 하나에 포함돼 있다.
지난 1분기(3월말 기준) 에너지공단에 고효율에너지기자재로 인증을 받은 업체와 건수는 △산업·건물용 가스보일러 14개 업체 244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비롯 △산업·건물용 기름보일러 2개 업체(광희보일러·동광보일러) 총 10건 △기름연소 온수보일러 2개 업체(귀뚜라미·경도나비엔) 12건 △가스진공온수보일러 4개 업체(동광보일러·(주)부-스타·경동나비엔·대림로얄이앤피) 75건 등 모두 4개 제품군 포함 22개 업체에 총 341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건물용 가스보일러 (주)대열보일러 총 75건 여전히 ‘톱’
보일러 가동 사용 연료를 LNG(액화천연가스)를 사용하는 제품군으로 3월말 기준 (주)대열보일러 등 모두 14개 업체 총 244건의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중에서 가장 많은 인증건수를 받은 업체는 (주)대열보일러로 총 75건에 이른다.
2위는 (주)부-스타로 39건, 3위는 34건을 인정받은 (주)대림로얄이앤피(주)가 랭킹 빅3 자리에 이름을 올렸다.
이어 4위는 (주)동광보일러 21건, 5위 (주)광희보일러 17건(기타 온수발생기 16건, 공기예열기 1건), 6위 엠엠케이(주) 15건, 7위 (주)한신비텍 14건, 8위 인피디아(주) 8건(모두 수관식), 동양보일러뱅크(주)·한국미우라공업·한국와츠(주) 등 3개사 각각 5건으로 9위, 10위 한신보일러 3건 등의 순이다.
이밖에 (주)한국미우라공업의 자회사인 미우라매뉴팩처링코리아(주) 2건, 일성보일러산업 1건 등으로 산업·건물용 가스보일러 부문 3월말 현재 총 244건의 고효율기자재 인증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산업용보일러 업계 관계자는 "온실가스 배출, 이산화탄소 및 질소산화물 등 환경오염인자 배출 문제 등이 세계적인 화두로 떠올라 향후 기후변화협약과 관련된 규제가 심화될 것은 불가피할 것"이라며 "고부가가치 보일러 생산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연소기술에 대한 기술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해 고효율·친환경보일러 제품 생산에 주력, 선진국과 격차를 줄이는데 모든 보일러업체가 적극 나서는 의지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한편, 전체 시장의 약 20% 정도가 관급수요인 산업용보일러 시장은 대기업군이 참여하기에는 부가가치가 적어 특히, 공공기관에 대한 납품은 중소기업만이 가능한 중소기업형 산업(업종)이다.
따라서 공공기관은 관련 규정(中企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제6조 및 동법 시행령 제7조)에 근거해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중소기업청장이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공고하는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은 중소기업자간 제한경쟁 내지는 지명경쟁 입찰을 통해 조달계약을 체결하도록 정해 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