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신기술로 제어가능…관련 산업도 성장할 것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8.04.30 14:31

▲30일 국회신성장산업포럼 주최로 의원회관에서 ‘미세먼지, 산업을 낳다’ 세미나가 개최됐다. (사진=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정 기자] 산업발전으로 심화된 미세먼지 문제가 과학기술 등 신기술로 제어가능할까.

30일 국회신성장산업포럼 주최로 의원회관에서 ‘미세먼지, 산업을 낳다’ 세미나가 개최돼 눈길을 끌었다. 이 자리에서 홍영표 국회 신성장산업포럼 공동대표(더불어민주당)는 "산업발전으로 인해 심화된 미세먼지 문제는 또 다른 산업의 발전으로 제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홍 의원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다양한 신기술, 고도화된 산업과 최첨단 기술력에 근거한 철저한 원인분석과 대응책 마련이 미세먼지를 제어할 수 있는 근본적 해결책"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는 미세먼지를 산업적 관점에서 접근했다. 미세먼지 측정, 저감, 적응과 관련한 산업적 측면을 조명했다. 홍 의원은 "특히 그 동안 수송·발전부분에 비해 그 심각성과 중요성이 간과된 산업 미세먼지에 주목해야 한다"며 "산업 미세먼지를 제어할 수 있다면 수송·발전부분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또한 어렵지 않게 통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성일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하 생기원) 원장은 "국내에서 고농도 미세먼지를 유발하는 물질을 가장 많이 배출하는 분야는 산업현장"이라며 "전체의 38%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반면 수송, 발전 분야보다 상대적으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적고 중소형 사업장의 경우 관련 설비는 물론 측정조차 어려운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다"고 지적했다.

현준원 한국법제연구원 글로벌법제연구실장은 제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신기술 개발이 필수라고 주장했다. 현 실장은 "적절한 규제강화와 공적 연구개발(R&D)투자로 기술개발을 유도해야 한다"며 "원인자 부담 원칙을 고려하더라도 국외요인 기여분에 상당하는 비중으로 기술개발을 위한 공적 R&D 투자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국외요인 저감을 위해서도 기술개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중국일부 지역과 국내 지역을 연결한 총량관리제 도입을 고려해 볼 만하다"며 "중국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기술이전 등의 유인책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한편 생기원은 청정생산시스템 분야를 중점 연구영역으로 선정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거나 유해물질을 줄이는 기술 개발과 지원에 힘써 왔다. 최근에는 이런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전 공정단계에 걸쳐 유해물질 생성을 감축하고 측정할 수 있는 전주기적 산업 미세먼지 저감기술 체계를 구축했다. 생기원은 5월에 ‘산업미세먼지저감기술센터’를 열어 이 같은 성과의 제조현장 보급·확산과 기술 고도화 속도를 높여나갈 예정이다.



이현정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