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8개월여만에 마주 앉으면서 우리 산업계도 회담 결과에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1박 2일간 ‘하노이 담판’을 통해 북측 경제 제재가 일정 수준 풀릴 경우 다양한 산업군에서 수혜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이날 오후 8시 30분(한국시간) 대화를 나누기 시작하며 제2차 북미정상회담의 막을 올린다. 두 정상은 회담·만찬을 병행하며 28일까지 비핵화 실행조치와 이에 따른 상응 조치에 대한 의견을 나눈다.
우리 산업계는 회담 이후 ‘하노이 선언’에 북측 경제 제재 완화 내용이 담길지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철도·도로 연결에 대한 관심이 높은 상황이다. 실제 우리 국민들 3명 중 1명이 ‘우리 정부가 중점 추진해야 할 남북 경제협력 분야‘에 대해 ’철도·도로의 연결’을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얼미터가 최근 전국 성인남녀 5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 ±4.4%포인트)를 벌인 결과다.
앞서 국토연구원은 2014년 조사를 통해 북한의 철도 분야 인프라 사업 규모가 19조 원 가량으로 추산된다고 예상했다. 이 중 우리 기업이 따낼 확률이 높은 프로젝트도 13조 원 규모일 것으로 추산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앞서 김 위원장과 남북 정상회담을 진행할 때도 철도 협력에 대한 논의는 꾸준히 거론돼왔다. 철도 관련 기업인 코레일, 열차 제작 업체 현대로템 등은 물론 철강·건설 분야에도 연관 업종이 많다는 분석이다.
육로가 열릴 경우 이에 따라 물류, 통신 등 업종에서도 경협에 속도를 낼 수 있다는 평가다. 특히 국내에서 유럽으로 가는 길에 항만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 비용절감 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글로비스 등 물류 업체들은 최근 러시아 극동부에 거점을 마련하며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정부의 움직임도 빨라졌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7일 성남시에 있는 ‘코리아 바이오파크’에서 기자들과 만나 "회담이 잘 진전해 대북제재 완화 여건이 조성되면 앞으로 경협이 본격화할 것"이라며 "이에 대비해서 기재부도 남북 경협을 물밑에서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이번 제2차 북미 정상회담에서는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체결 논의, 대북 투자, 제재완화 등이 집중 거론될 것으로 예측된다. 북한의 비핵화 조치에 대한 상응 조치로는 북미 간 연락사무소 설치 논의가 양측간에 어느 정도 진전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