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 홈페이지에 APR1400법제화 절차 진행 공시...7월말쯤 최종 설계인증 획득 예상
-트럼프, 자국 원자력 기업 살리기 위해 사우디 원전 수주에 총력...사우디도 미국 핵무기 기술 이전 원해
-단 사우디는 UAE사례로 한국형 원자로 도입 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전문가 "원자력 기술은 한국, 보안 등 기타 부문은 미국기업이 맡는 컨소시엄 형태 유력"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한국이 사우디아라비아 원자력발전소 수출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국수력원자력은 1일 우리나라 차세대 원전 ‘APR1400’이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로부터 안전성 인증을 받고, 오는 7월 말 최종 설계인증 획득을 앞뒀다고 발표했다. 설계인증은 법제화 이후 15년간 유효하다.
APR1400은 발전용량 1400MW급, 설계수명 60년, 내진설계 0.3g급(지진규모 7.0정도) 가압경수로형 원전으로 국내에는 신고리 3~6호기와 신한울 1~4호기 등 총 8기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한국 원전의 최초 해외수출 모델로서 아랍에미리트(UAE)에 4기를 건설하고 있다.
국내 원자력업계에서는 이번 인증이 올해 말 우선협상자 선정을 앞둔 사우디 원전 사업에 수출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현재 사우디에 120억달러(약 13조원) 규모의 1.4기가와트(GW)급 원전 2기를 건설하는 사업에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 중국, 프랑스, 러시아 등 5개국이 경쟁 중이다.
사우디 정부는 전력 생산과 핵무기 개발을 모두 원하고 있다는 게 국내외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이슬람 수니파 맹주인 사우디가 핵보유국인 시아파 이란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이라는 것이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역시 자국 원자력 산업을 살리기 위해 핵무기 기술을 포함해서라도 사우디 원전 수출을 희망하고 있다. 앞서 로이터는 "트럼프 행정부가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등의 기술을 사우디에 이전하는 사업을 조용히 추진하고 있다"며 "이미 7건의 원자력 기술 이전을 승인했다"고 보도했다.
◇ 사우디, ‘경제성·안전성·건설 기한 준수’ 가능한 한국형 원전 원해
사우디 측은 미국의 참여를 원하면서도 내심 원자력발전은 이웃 국가인 UAE의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의 ‘APR1400’ 도입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한전 김종갑 사장은 올해 초 "한국은 현지 인력 채용, 현지 기업과 협력 등 국산화 부분에서 사우디에 상당히 좋은 인상을 주지 않았나 판단하고 있다"고 자신했다.
정용훈 카이스트 원자력양자공학과 교수는 "이번 인증은 기술적으로 안전성과 성능을 미국이 인정하게 된 것"이라며 "미국 본토에 원전을 지을 수 있다는 것은 세계 어느 곳에서도 안전하게 원전을 건설하고 운영할 수 있다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이어 "사우디가 핵무기를 개발하겠다는 목적은 좋아보이지는 않는다"면서도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단독이든 공동이든 진출하는 게 중요하다. 국내 공급망을 지키고 외국에 나가서 한국 원전 기술의 우수성을 알릴 기회"라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APR1400은 경제적으로도 미국 모델인 AP1000보다 절반 가량 저렴한데다 이미 UAE와 국내 신고리 3·4호기를 건설 기한 내에 완공한 실적이 있다"며 "위 두가지 측면에서 사우디가 노형을 선택함에 있어서 우리나라 노형을 선호하게 될 것은 분명하다"고 덧붙였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타 국가가 개발한 원전이 미국에서 설계 인허가를 받은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원전 선진국으로 평가받는 프랑스나 일본도 실패했다"고 말했다. 이어 "만약 사우디에 미국 모델인 AP1000이 도입된다면 우리나라 업체는 원전을 짓는 건설회사와 AP1000에 들어가는 부품을 생산하는 두산중공업 정도만 참여하게된다"며 "그러나 APR1400의 경우 모든 기자재를 우리나라 업체가 공급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정용훈 교수는 "정치적 역학관계에 의한 변수를 제외한다면 사우디 수출에 있어서 가장 유리한 노형임은 자명하다"며 "자국 노형을 수출하고 싶어하는 미국과 우리가 경쟁하게 되는 구도가 되는데 이를 위해 전략적으로 협력해야 할 시기"라며 "양국의 관계가 매끄럽지 않은 현 상황이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우리 정부는 미국과 공동진출을 고려하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미국과 컨소시엄 구축에 대해 물밑에서 협의를 하고 있는 건 사실"이라며 "우리 정부는 최종사업자로 한국 혹은 미국, 또는 공동으로 선정되는 경우를 모두 대비해 미국과 협력하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자국 원자력 기업 살리기 위해 사우디 원전 수주에 총력...사우디도 미국 핵무기 기술 이전 원해
-단 사우디는 UAE사례로 한국형 원자로 도입 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전문가 "원자력 기술은 한국, 보안 등 기타 부문은 미국기업이 맡는 컨소시엄 형태 유력"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한국이 사우디아라비아 원자력발전소 수출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국수력원자력은 1일 우리나라 차세대 원전 ‘APR1400’이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로부터 안전성 인증을 받고, 오는 7월 말 최종 설계인증 획득을 앞뒀다고 발표했다. 설계인증은 법제화 이후 15년간 유효하다.
APR1400은 발전용량 1400MW급, 설계수명 60년, 내진설계 0.3g급(지진규모 7.0정도) 가압경수로형 원전으로 국내에는 신고리 3~6호기와 신한울 1~4호기 등 총 8기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한국 원전의 최초 해외수출 모델로서 아랍에미리트(UAE)에 4기를 건설하고 있다.
국내 원자력업계에서는 이번 인증이 올해 말 우선협상자 선정을 앞둔 사우디 원전 사업에 수출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현재 사우디에 120억달러(약 13조원) 규모의 1.4기가와트(GW)급 원전 2기를 건설하는 사업에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 중국, 프랑스, 러시아 등 5개국이 경쟁 중이다.
사우디 정부는 전력 생산과 핵무기 개발을 모두 원하고 있다는 게 국내외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이슬람 수니파 맹주인 사우디가 핵보유국인 시아파 이란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이라는 것이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역시 자국 원자력 산업을 살리기 위해 핵무기 기술을 포함해서라도 사우디 원전 수출을 희망하고 있다. 앞서 로이터는 "트럼프 행정부가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등의 기술을 사우디에 이전하는 사업을 조용히 추진하고 있다"며 "이미 7건의 원자력 기술 이전을 승인했다"고 보도했다.
◇ 사우디, ‘경제성·안전성·건설 기한 준수’ 가능한 한국형 원전 원해
사우디 측은 미국의 참여를 원하면서도 내심 원자력발전은 이웃 국가인 UAE의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의 ‘APR1400’ 도입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한전 김종갑 사장은 올해 초 "한국은 현지 인력 채용, 현지 기업과 협력 등 국산화 부분에서 사우디에 상당히 좋은 인상을 주지 않았나 판단하고 있다"고 자신했다.
정용훈 카이스트 원자력양자공학과 교수는 "이번 인증은 기술적으로 안전성과 성능을 미국이 인정하게 된 것"이라며 "미국 본토에 원전을 지을 수 있다는 것은 세계 어느 곳에서도 안전하게 원전을 건설하고 운영할 수 있다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이어 "사우디가 핵무기를 개발하겠다는 목적은 좋아보이지는 않는다"면서도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단독이든 공동이든 진출하는 게 중요하다. 국내 공급망을 지키고 외국에 나가서 한국 원전 기술의 우수성을 알릴 기회"라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APR1400은 경제적으로도 미국 모델인 AP1000보다 절반 가량 저렴한데다 이미 UAE와 국내 신고리 3·4호기를 건설 기한 내에 완공한 실적이 있다"며 "위 두가지 측면에서 사우디가 노형을 선택함에 있어서 우리나라 노형을 선호하게 될 것은 분명하다"고 덧붙였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타 국가가 개발한 원전이 미국에서 설계 인허가를 받은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원전 선진국으로 평가받는 프랑스나 일본도 실패했다"고 말했다. 이어 "만약 사우디에 미국 모델인 AP1000이 도입된다면 우리나라 업체는 원전을 짓는 건설회사와 AP1000에 들어가는 부품을 생산하는 두산중공업 정도만 참여하게된다"며 "그러나 APR1400의 경우 모든 기자재를 우리나라 업체가 공급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정용훈 교수는 "정치적 역학관계에 의한 변수를 제외한다면 사우디 수출에 있어서 가장 유리한 노형임은 자명하다"며 "자국 노형을 수출하고 싶어하는 미국과 우리가 경쟁하게 되는 구도가 되는데 이를 위해 전략적으로 협력해야 할 시기"라며 "양국의 관계가 매끄럽지 않은 현 상황이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우리 정부는 미국과 공동진출을 고려하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미국과 컨소시엄 구축에 대해 물밑에서 협의를 하고 있는 건 사실"이라며 "우리 정부는 최종사업자로 한국 혹은 미국, 또는 공동으로 선정되는 경우를 모두 대비해 미국과 협력하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