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금리 ‘역대 최저’… "부동산 시장 영향은 제한적"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10.16 16:37

업계 "장기간 저금리 이어져 영향 미미할 것"
LTV 등 대출 규제로 추가 자금 유입 어려워
매도자, 가격 상승 기대감에 보유 전환 가능성



[에너지경제신문 오세영 기자] 16일 한국은행은 역대 최저치인 1.25% 기준금리를 발표했다. 이는 지난 7월보다 1.5%였던 기준금리에서 0.25%p 추가 인하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리 인하는 대출 이자 부담 감소로 투자 수요가 증가해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이미 저금리가 장기간 이어져와 부동산 시장에서 금리 인하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많다.

특히 주택담보대출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등 강력한 대출 규제가 작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금리 인하가 추가 자금 수요 유입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서울 등 투기지역 2주택자는 신규 주택담보대출이 막혀 현실적으로 갈아타기가 불가능하다"며 "1주택자라고 해도 담보인정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강화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관리지표 시행 등으로 대출 한도가 낮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세가격이 상승할 가능성도 다소 있어 보인다. 함 랩장은 "임대기간 갱신권 및 임대료 상한제 등 임대차시장의 구조전환을 가져올 제도 개선이 진행 중이고 낮은 금리는 세입자의 대출이자부담을 낮추는 경향이 있다"며 임대인의 전세보증금 증액 요구를 받아들이기가 쉽다는 점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전세대기수요가 공급보다 많은 일부지역은 전세가격이 국지적으로 오르는 경우도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일부 매도자들은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으로 매도 계획을 철회하고 보유로 전환할 가능성도 있다. 내년 이후 본격화될 3기 신도시 등 수도권 공공택지 보상도 변수다. 제로 금리나 다름없는 은행 이자로 인해 토지 보상비가 부동산으로 다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정부가 11일부터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실거래가와 중개업소 합동조사에 착수함에 따라 당분간은 상승세가 주춤하고, 거래도 소강상태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 반면 청약 시장에 대한 선호현상은 더욱 두드러질 전망이다.

대출과 금리에 민감한 상가·오피스텔 등 일부 수익형 부동산 시장에도 호재가 될 수 있다. 은행 금리가 떨어질수록 임대사업을 통한 월세 선호 현상은 더욱 뚜렷해지면서 규제가 많은 주택보다 상가 등으로 관심을 돌릴 수 있어서다.

박원갑 KB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많은 대출이 필요없는 토지보다 레버리지 기법이 활발한 상가가 금리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며 "저금리로 인한 상가 등 수익형 부동산 선호 현상은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번 기준금리 인하는 실물경기 위축으로 거시경제 불안이 커지고 있다는 의미에 가까워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으로만 작용하진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오세영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