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사태로 자금조달 위축될라...PBS 사업자들, 메자닌투자 늘리기로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0.02.16 12:29

▲(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종합금융투자사업자로 프라임브로커서비스(PBS)를 수행하는 6개 대형 증권사가 라임자산운용의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로 기업들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막기 위해 메자닌 투자 예산을 최대 6000억원 수준으로 늘리기로 했다.

1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미래에셋대우와 NH투자증권, 삼성증권, KB증권, 한국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 사장단은 이달 11일 서울 여의도 금투협에서 회의를 열어 각 회사가 1000억원씩 총 6000억원 수준의 투자 예산을 확대하기로 결의했다.

이들 증권사는 자기자본 4조원 이상인 증권사에만 허용되는 PBS를 영위하는 종합금융투자사업자다. PBS는 사모펀드 등에 신용공여, 펀드재산 보관, 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를 의미한다. 이들은 라임자산운용이 메자닌에 주로 투자한 펀드의 환매를 중단하면서 건전한 기업들의 자금 조달까지 위축될 우려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들은 정부의 중소기업 등 기업금융 투자 활성화 정책에 일조하고 메자닌 발행 기업의 유동성 위험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자율적으로 메자닌 투자 예산을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확보된 예산은 심사를 거친 건전한 코스닥 기업의 전환사채(CB)·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 메자닌 자산에 투자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투자대상 및 방식은 건전한 코스닥 기업의 자본시장을 통한 조달을 활성화하기 위해 CB 등 메자닌 자산의 신규 및 차환 물량을 심사를 거쳐 시장가로 매입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메자닌은 혁신기업에 자금 조달 기회를 주고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유동성이 비교적 낮은 상품이다.

라임자산운용의 일부 펀드는 유동성이 낮은 메자닌 등에 투자하면서 중도 환매가 가능한 개방형으로 판매한 것이 환매 중단 사태의 원인이 됐다.

나유라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