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발전, 신재생에너지 ‘새바람’ 될 수 있을까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0.05.17 11:57
전북

▲14일 전북도와 군산시가 전북도청 중회의실에서 ‘조선기자재기업 신재생에너지 업종전환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최윤지 기자] 2034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40%까지 확대하는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초안이 8일 공개된 가운데, 풍력발전이 신재생에너지의 새바람을 일으킬지 귀추가 주목된다.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폐쇄로 어려움을 겪는 전북 군산지역 조선업체들은 신재생에너지 기자재 생산으로 업종을 전환해 활력을 도모한다. 14일 전라북도와 군산시는 전북도청 중회의실에서 ‘조선기자재기업 신재생에너지 업종전환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군산2국가산업단지에는 2022년까지 300억 원이 투입돼 신재생에너지 생산·가공 협동화공장과 장비가 구축된다. 군산지역 조선업체 23곳 등은 이곳에서 태양광과 해상풍력에 쓰는 기자재를 생산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전북도 관계자는 "군산과 새만금에 4GW(기가와트)급 해상풍력과 재생에너지 클러스터가 구축되고 있어 기자재 수요가 충분하다"며 "군산조선소 폐쇄로 위기에 처한 중소 조선업체가 자생력을 확보하고 군산경제에 활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시민운동가 출신 양이원영 더불어시민당 당선인은 두산중공업의 위기와 관련해 풍력으로의 노동력 전환을 언급한 바 있다.

양이 당선인은 6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두산중공업 전체 노동자 약 6000명 중 약 2500명이 석탄발전, 약 1200명이 원전, 300∼400여 명이 가스터빈에 배분돼 있다"며 "석탄과 원전 노동자를 풍력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이 당선인은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의 사례를 들며 "GE 중공업 파트는 석탄이나 원전에서 가스터빈과 풍력터빈으로 옮겨갔다"며 "이미 10㎿(메가와트) 풍력터빈을 개발해서 상용화 단계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양이 당선인은 또, "전 세계적 기후위기에 세계 금융이 석탄발전소에 투자하지 않는 추세"라며 "기계공학적인 기반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국내 중공업사들은 조금만 투자하면 풍력시장을 열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원별발전설비용량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14)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풍력 잠재량은 59.4GW(육상 15.0 GW, 해상 44.4GW)로 추정되지만 현재 보급은 미미한 상황이다.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의 ‘2018년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에 따르면 2018년 태양광 누적 보급용량은 809만9140㎾(킬로와트), 풍력은 130만2598㎾를 기록했다. 최근 3년간 태양광 신규 보급량은 2016년 90만9218㎾에서 2017년 136만2490㎾, 2018년 236만7202㎾로 대폭 증가한 것과 비교해, 풍력은 2016년 18만6810㎾에서 2017년 11만3562㎾, 2018년 16만1309㎾만이 신규 보급됐다.

풍력발전 보급이 지연되는 대표적인 사례로는 입지 갈등으로 인한 규제 강화와 주민 수용성 강화가 꼽힌다.

사단법인 기후솔루션의 ‘2020 대한민국 재생에너지 현황과 문제점’ 보고서에 따르면 육상풍력은 환경 훼손에 대한 우려, 해상풍력은 어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사업이 지연된 사례가 빈번했다. 당초 2018년 완공을 목표로 전북 부안과 고창 앞바다에 2GW급의 해상풍력발전 단지를 설치하는 대규모의 사업으로 계획됐던 서남해 해상풍력 사업이 그 예로, 이 사업은 2017년에서야 60㎿급 실증단지 구축에 착수해 2019년말 실증단지 구축을 완료한 상황이다.

정부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월 ‘풍력발전 추진지원단’을 발족하고 본격적인 풍력사업별 전담지원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지원단은 입지규제, 주민수용성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사업추진이 지연되고 있는 106개 풍력사업(6.8GW)을 집중 지원해 풍력보급 확대 성과를 조기에 창출할 계획이다. 이날 지원단 발족식에서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재생에너지 3020’ 목표의 차질없는 이행을 위해서는 풍력발전 보급 확대가 필수적"이라며 "지원단 출범에 따른 본격적인 풍력사업별 1대1 밀착지원 시행으로 현재 지연중인 사업들이 속도감 있게 추진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신재생에너지를 둘러 싸고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전기요금 인상문제도 관건이다.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초안과 관련해 한 국책 연구기관 관계자는 "과거 에너지경제연구원 분석에 의하면 신재생에너지 목표량은 해상풍력이 많이 늘어나야 가능하지만 해상풍력 대폭확대가 포함된 재생에너지 확대정책은 정부가 예상하는 재생에너지 발전비용 하락에 역행해 재생에너지의 가중평균 발전단가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며 "결과적으로 전기요금 영향은 정부가 생각하는 10%가 아니라 훨씬 더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은 8차나 9차나 다를 바가 없다"고 말했다.

최윤지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