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탈원전’에도 숨죽인 신재생에너지株...그린뉴딜은 진짜 수혜?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0.05.22 15:55

단기간 급등 피로감...재생에너지 차익실현 매물 쏟아져
슈퍼여당에 그린뉴딜 탄력 기대..."탈원전 반짝상승과 달라"
업계 체감도는 ‘글쎄’..."각종 이해관계자 득실로 사업한계"

▲문재인 대통령. (사진=연합)


문재인 정부가 추진 중인 한국판 뉴딜에 ‘그린 뉴딜’이 포함되면서 신재생에너지 관련주가 연일 들썩이고 있다. 그린 뉴딜은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동시에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정책을 의미하는 것으로, 재생에너지 시장이 커지면 기업들 역시 수혜를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더불어민주당이 177석의 '거대 여당'으로 거듭난 만큼 정부가 추진 중인 그린 뉴딜 정책도 한층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했다. 다만 에너지 업계에서는 에너지정책과 관련해 이해관계자들의 득실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만큼 단순 정부의 정책만으로 실제 재생에너지 시장이 확대되는데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다시 말해 기존 에너지업체는 물론 시민사회와 대화, 타협을 통해 그린 뉴딜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전력 공급 포트폴리오를 전면 개편하는 작업들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 너무 올랐나...재생에너지株 하루만에 '급락'


22일 유가증권시장에서 OCI는 전일 대비 5.08% 하락한 4만1100원에 마감했다. 다른 태양광 관련주인 신성이엔지(-3.54%), 한화솔루션(-3.33%) 등도 약세였다.

풍력 관련주인 유니슨과 동국S&C도 각각 8.15%, 2.38% 하락했다.

전날까지만 해도 유니슨(26.17%), 동국S&C(29.90%), OCI(9.2%),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주는 급등세를 보였다. 그러나 단기 주가 급등에 따른 피로감이 누적되면서 차익실현 매물이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3년간 OCI 주가 추이.


최근 신재생에너지 관련주가 주목을 받은 것은 문재인 정부가 추진 중인 한국판 뉴딜에 대체에너지 사업 육성책 등을 담은 ‘그린 뉴딜’ 사업이 포함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그린 뉴딜은 우리가 가야 할 길임이 분명하다"며 "그린 뉴딜이 디지털 인프라 구축과 조화를 이루도록 크게 보는 설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린 뉴딜의 구체적인 사업은 다음달 초 발표된다. 업계에서는 그린 뉴딜 정책에 △ 재생에너지 확대, △ 스마트 그리드, 미터링 확대 △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한 산업 설비 개선 및 건물 리모델링 사업 진흥 등이 담길 것으로 보고 있다. 에너지 효율이 떨어진 노후 건축물의 단열 등을 개선해 에너지성능을 높이는 한편 서남해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해상 풍력 시장을 확대하는 안이 유력하다는 분석이다.


◇ '슈퍼여당' 탄생에 재생에너지 기대감↑


전문가들은 더불어민주당이 거대 여당의 지위를 확고하게 구축한 만큼 그린 뉴딜을 포함한 각종 정책들이 한층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과거 탈원전 정책으로 신재생에너지 관련주가 ‘반짝’ 하던 것과는 다르다는 분석이다. 신재생에너지 관련주는 2017년에도 정부가 신규 원전 건설계획을 백지화하는 등 ‘탈핵 시대’를 선포하면서 일제히 강세를 보였지만, 이같은 기대감은 오래 가지 못했다. 정부의 정책이 수주 확대나 실적 개선 등으로 이어지지 않은 탓에 주가 역시 단기간 상승에 그친 것이다. 실제 문재인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공식화한 2017년 6월 19일부터 작년 말까지 유니슨 주가는 64% 급락했고, OCI 역시 이 기간 주가가 30% 넘게 빠졌다. 국내 유일의 잉곳, 웨이퍼 제조업체인 웅진에너지는 2년 연속 감사의견 거절을 받으면서 상장 폐지를 앞두고 있다. 국내 한 증권사 연구원은 "과거에는 야당의 반대로 인해 추진하지 못했던 입법 절차들이 많았다"며 "그러나 현재는 여당이 절대 다수의 당으로 거듭난 만큼 그린 뉴딜 정책이 신재생에너지 관련주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재생에너지 확대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추진 중인 과제인 만큼 국내보다는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들을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도 있다. 또 다른 증권사 연구원은 "국내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다"며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전환 정책을 가속화하고 있는 만큼 코로나19 이후 경기 회복을 위한 새로운 모멘텀적인 관점으로 재생에너지 관련주를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현장 체감도는 '글쎄'...'슈퍼그리드' 추진 관건

▲풍력발전.(사진=에너지경제신문DB)


다만 재생에너지 업계에서는 정부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크지 않은 편이다. 대부분 재생에너지 업체들이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도 수주 부진 등으로 실적이 악화되고 있는데다 우리나라의 경우 각종 이해관계자들 간에 득실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만큼 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는 것이 쉽지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당장 탈원전 정책만 봐도 발전단가 등을 놓고 찬성 측과 반대 측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어 정부가 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골머리를 앓고 있다는 전언이다.

이로 인해 탈원전 정책 이후에도 신재생에너지 관련주는 연일 실적 부진에 시달리고 있다. OCI는 작년 영업손실 485억원으로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고, 유니슨도 작년까지 2년 연속 적자였다. 슈퍼그리드 역시 재생에너지 시장의 중요한 과제로 꼽힌다. 슈퍼그리드는 2개 이상의 국가가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생산한 전기를 국가 간 전력망을 통해 상호 공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슈퍼그리드가 구축되면 재생에너지의 이용 효율이 높아지고 보다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국내 한 재생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예비전력으로 소화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를 기저발전으로 전환하는 식으로 전력 공급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하고, 슈퍼그리드 프로젝트를 추진하지 않는다면 재생에너지 비중을 확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여기에 아직 기후변화에 대한 시민의식이 부족해 풍력이나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는데도 어려움이 많은 상황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전력이라는 기간산업의 특성상 여러 업계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재생에너지 시장을 확대하는 것에 대해 반대하는 이들도 많다"며 "정부가 아무리 정책을 추진한다고 해도 모든 이해관계자들 간에 대화와 타협이 없다면 그린 뉴딜 역시 큰 모멘텀을 받지 못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나유라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