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한·미·일·중·독 5개국 4차산업 분야 인력경쟁력 비교
인력경쟁력 한 100 기준 美 123.3 > 獨 114.4 > 日 107.8 > 中 106.7
5년 뒤에도 인력경쟁력 꼴찌…인공지능 등 비교우위 기술분야 全無
[에너지경제신문 김민준 기자] 졸업 후 미취업한 청년이 올해 5월 기준 166만명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반면 미래 성장동력인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는 오히려 구인난을 겪고 있다는 역설적인 조사결과가 나왔다. 이는 우리나라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의 심각성을 방증하는 것으로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인재 육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1일 한국경제연구원이 한국의 4차 산업혁명 분야별 협회(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지능정보산업협회, 한국로봇산업협회, 한국섬유산업연합회, 3D융합산업협회, 한국드론산업진흥협회, 한국신재생에너지협회) 정책담당자를 대상으로 ‘주요국 4차 산업혁명 인력경쟁력 현황 및 전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 4차 산업혁명의 인력부족률은 29.4%로 인력수요의 약 3분의 1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5년 뒤인 2025년에도 28.3%의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인력이 부족한 주요 기술분야는 △드론(55%) △3D프린팅(35%) △로봇(35%) 등으로 인력부족률이 30%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5년 뒤에도 △드론(75%, 20%p↑) △로봇(55%, 20%p↑) 등 분야에서 인력부족률이 현재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관계자들이 지적한 산업계의 인력 확보 애로사항은 △실무에 적합한 기술인력 부족(40.7%) △석박사 등 전문 인력 부족(33.3%) △예산지원, 규제완화 등 정부 지원 부족(11.1%) △근로시간, 호봉제 등 경직된 근무환경 및 조직문화(7.4%) △경쟁국 수준 임금 지급 어려움(7.4%) 등이었다.
이로 인해 주요국과 인력경쟁력에서 밀렸다. 올해 한국, 미국, 독일, 일본, 중국 등 총 5개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 인력경쟁력을 비교했을 때 한국을 100이라 가정하면 △미국 123.3 △독일 114.4 △일본 107.8 △중국 106.7 순으로 우리나라가 가장 뒤 처졌다. 2025년 역시 △미국 121.1 △중국 114.4 △독일 106.7 △일본 104.4 순으로 여전히 최하위로 예상됐다.
![]() |
기술분야별로는 인력경쟁력 1위에 미국은 신재생에너지를 제외한 8개, 독일은 4개(3D프린팅·신재생에너지·첨단소재·컴퓨팅기술), 중국은 3개(블록체인·인공지능·컴퓨팅기술), 일본은 2개(블록체인·첨단소재)씩이 올랐다. 우리나라는 비교대상 국가들 중 가장 앞선 분야가 단 하나도 없었고, 9개 기술분야 중 인공지능 등 6개 분야에서 최하위를 기록했다. 유일하게 중국에 대해서만 로봇,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분야에서 앞서 있는데 이마저도 5년 후에는 따라잡혀 9개 기술 전 분야에서 비교국가들 중 꼴찌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응답 협회들은 국내 4차산업혁명 인력경쟁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전공 개설 확대, 능력 있는 교수진 유치 등 교육인프라 확충(29.6%) △기술 스타트업 창업 및 기업 인력육성에 대한 제도적 지원 확대(22.2%) △산관학 협력 활성화(14.8%) △성과보상제, 유연근무제 등 인력 유치를 위한 유연한 근로환경 및 조직문화 조성(14.8%) △기술혁신 및 신산업 창출을 저해하는 규제 완화(14.8%) △해외 인력 유치를 위한 법·제도 개선 및 지원(3.7%)을 꼽았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주력산업 경쟁력 약화, 신성장동력 부재에 따른 국내 산업 생태계의 구조적 침하 현상을 감안할 때 4차 산업혁명의 대비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4차 산업혁명 경쟁력의 핵심요소는 인적 자본인 만큼 교육인프라 확충 등 인재 육성에 적극적인 노력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