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16일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복권 총 판매액은 2조620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1.1% 증가했다. 이는 복권위원회가 상반기 기준 복권 사업 실적을 공개한 2005년 이후 가장 많은 규모다.
상반기 기준 증가율은 지난 2012년(17.7%)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복권은 경기가 하강할수록 잘 팔리는 불황형 상품으로 꼽힌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는 코로나19에 따른 불황으로 ‘일확천금’에 눈길을 돌린 사람이 더 늘어났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상품별로 보면 로또 판매액이 약 2조3082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 외 인쇄식 복권이 1863억원, 결합식 연금복권이 855억원, 전자식 복권이 408억원 등이었다.
특히 연금복권 판매액은 작년 동기(508억원)보다 68.2% 급증하면서 상반기 기준으로 지난 2012년(1313억원) 이후 8년 만의 최대치를 나타냈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세전 기준 월 당첨금을 500만원에서 700만원으로 올린 ‘연금복권 720+’를 지난 4월 30일 출시했다.
연금복권 720+는 기존 연금복권520과 비교해 장당 구매가격(1000원)은 같으면서도 당첨금은 많아진 것이 특징이다. 종전까지 1억원의 일시금을 지급하던 2등 당첨자에게 10년간 매월 100만원의 연금을 지급하기로 하고 보너스 추첨 제도를 새로 도입하는 등 연금 당첨자도 확대했다.
복권위 관계자는 "경제 규모가 늘어나는 추세에 맞춰 복권 판매량도 함께 늘었다고 볼 수 있다"며 "다만 경기 불황과 복권 판매량 사이 뚜렷한 상관관계는 찾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연금복권 상품 개편에 따라 당첨금이 늘어 구매자들의 관심이 커지면서 판매량이 늘어난 측면도 있다"고 덧붙였다.
윤하늘 기자 yhn770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