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원 입체 설계모델로 시설물 유지관리 데이터 확보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우효섭, 이하 건설연)은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BIM 데이터 확보를 자동으로 가능하게 하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빌딩 정보 모델링)기반 유지관리 정보 모델링 지침 V1.0 (기계설비분야)’을 개발했다.BIM은 종이도면과 같은 2차원으로 구현되던 정보를 3차원 입체 모델링으로 변환해 계획 및 설계단계에서 가상의 건축물과 시설물을 보여주는 기법이다. BIM이 활용되면 설계,시공 및 유지관리 등 건설사업 전 과정에서 생성된 모든 정보가 데이터베이스(DB)로 저장돼 사용자가 원할 때 언제든지 찾아볼 수 있다.
또한 BIM은 시설물의 초기설계 단계에서 유지관리 단계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생산되는 수많은 정보가 공유,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BIM기반 유지관리 정보 모델링 지침은 유지관리 분야 중 기계설비분야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유지관리 단계에서는 장비에 대한 설치, 보수 및 점검, 사양 및 재고 파악 등의 정보가 가장 중요한 정보이다.
이 지침의 가이드에 따라 기계설비분야에서 작성된 BIM 데이터가 유지관리시스템(FMS: Facility Management System)과 연계해 활용된다면 시설물에 대한 유지관리 업무의 효율성 제고 및 비용 절감의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BIM기반 유지관리 정보 모델링 지침이 발주자 지침 또는 설계 및 시공 과업 지시서에 반영되어 설계 및 준공단계의 BIM 모델 작성기준으로 적용된다면, 유지관리에 필요한 BIM 데이터 확보가 용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건설연은 2015년까지 BIM기반 유지관리 정보 모델링 지침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적용분야를 전기‧통신분야와 건축 및 공간관리 분야로 확대·보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