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
일 기획재정부가 국회에 추경안과 함께 제출한 ‘국가재정운용계획의 재정총량 효과 및 관리방안’ 자료에 따르면 올해 추경으로 국가채무는 965조9000억원까지 늘어난다.
지난해 4차 추경 기준 국가채무 846조9000억원보다 119조원 증가한 수치다.
1분기 ‘벚꽃 추경’으로 벌써 120조원 가까이 나랏빚이 불어난 것인데, 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대응을 위해 추경을 몇 번 더 편성하면 국가채무 증가폭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코로나19 위기가 어느 정도 진정될 것으로 전망되는 내년 이후에도 국가채무는 줄어들지 않고 매년 120조∼130조원 가량 증가할 전망이다.
기재부는 내년 국가채무를 올해보다 125조3000억원 증가한 1091조20000억원으로 전망했다.
2023년에는 전년보다 125조9000억원 늘어난 1217조1000억원, 2024년에는 전년보다 130조7000억원 늘어난 1347조8000억원으로 추산했다.
연내 추경이 더 편성되면 전망치는 여기서 더 오른다. 올해 34조10000억원 이상 빚을 더 내면 ‘나랏빚 1000조원 시대’도 연내 도래한다.
2021∼2024년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도 애초 전망보다 모두 올라갔다.
국가채무가 늘어나 분자가 커진데다 성장률 전망이 낮아져 분모도 작아졌기 때문이다 올해 국가채무비율은 48.2%이며 내년에는 50%를 돌파한 52.3%가 된다. 2023년에는 56.1%로 올라가고 2024년에는 59.7%로 60% 턱밑까지 간다.
국가채무비율의 연도별 변화는 나랏빚 증가에 가속이 붙고 있음을 보여준다. 국가채무비율은 2004년(22.4%)에 처음 20%대에 올랐고, 2011년(30.3%)에 30%대가 됐다. 40%대를 돌파한 것은 지난해(43.9%)가 처음이다. 50%대는 2022년(52.3%)에 도달한다.
30%대에서 40%대까지는 9년이 걸렸으나 40%대에서 50%대가 되는 데는 3년이 소요되는 것이다.
2025년 이후 60%대 돌파가 유력하기에 50%대에서 60%대로 가는 데까지는 3년밖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
yhn770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