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버들치 부화자어(제공-경상북도 토속어류산업화센터) |
‘버들치’ 대량 생산 양식기술 개발을 위해 지난 3월 시험·연구 계획을 수립하여 3월 30일부터 첫 인공채란으로 30만 개 알을 부화해 자·치어를 양식 중에 있으며, 금년 9월 경 10만 마리 정도를 도내 주요 하천에 방류 하는 등 새로운 양식기술을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버들치’는 몸길이 8∼15㎝ 정도까지 자라고, 전 지역에 서식하며, 계곡 같은 깨끗한 곳에 살아가는 1 급수 지표어종이다. 식용 시 뼈를 추릴 필요가 없고, 살이 부드러워 통째로 먹을 수 있는 별미로 kg 당 20000~30000원에 거래되는 고급어종이다.
현재 식용으로 이용되는 버들치는 매운탕, 튀김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일부 관상어로도 이용되고 있지만 주로 하천 등 자연 포획에 의존하고 있어 그 생산량이 불안정하고, 한정돼 버들치를 이용한 관련 산업이 정체인 실정이다.
토속어류산업화센터는 우선 버들치의 사료효율 및 성장도 시험으로 대량 종자생산 기술을 개발해 시험방류로 감소하는 수산자원을 조성해 나가고, 해양수산부에 버들치를 방류 어종으로의 지정을 건의 해 종자생산 산업의 활성화와 매운탕, 튀김 외의 다양한 수산식품 개발로 먹거리 산업을 육성해 내수면 산업이 확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원 문성준 원장은 "버들치를 비롯해 우리 하천 고유의 수산자원인 토속어류를 산업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경제성 있는 신품종을 개발하고, 내수면 6차 산업화 소득 증대 모델을 개발하는 등 내수면 어업인의 소득 증대에 기여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jjw5802@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