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환경부는 지난해까지 공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7∼2009년 평균치보다 30% 감축한다는 정부 목표를 달성했다고 22일 밝혔다.
환경부에 따르면 공공부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적용 대상인 783개 기관의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은 370만t CO₂eq(이산화탄소 상당량)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07∼2009년 평균 배출량(531만t CO₂eq)보다 30.3% 줄어든 수치다.
환경부는 이에 따라 공공부문 목표관리제 202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의 30%를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공공부문 목표관리제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공공부문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선도적 역할을 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로 지난 2011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중앙행정기관과 지자체, 시·도교육청, 공공기관, 지방공사·공단, 국·공립대, 국립대병원·치과병원 등이 적용 대상이다. 환경부는 해마다 이들의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점검한다.
지난 2007∼2009년 평균 배출량보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이 가장 높게 나타난 곳은 지방공사·공단(40.0%)으로 나타났다. 이어 △지자체(34.7%) △국·공립대(34.1%) △공공기관(30.3%) △시·도교육청(24.1%) △중앙행정기관(20.9%) △국립대병원·치과병원(7.4%)이 뒤따랐다.
온실가스 연간 배출량 1만t 이상 기관 가운데 감축률 상위 기관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64.7%) △한국체육산업개발주식회사(58.7%) △남양주도시공사(56.8%) △인천광역시(55.4%) 등이다.
정부는 공공부문 목표관리제의 2020년 감축 목표 달성에 이어 오는 2030년까지 기준 배출량의 50%를 감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공공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모범 사례를 발굴해 홍보하고 기관별 온실가스 감축을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공공부문 탄소중립 지원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claudia@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