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훈풍에 JP모건·BNP 파리바 등 “주가 더 오른다”

▲중국 CATL 배터리(사진=AFP/연합)
세계 1위 배터리 회사인 중국 CATL의 주가가 최근 5개월 동안 두 배 가까이 오르면서 시가총액 또한 154조원가량 불어났지만 여전히 저평가란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
19일 블룸버그통신은 “일반적으로 주가가 몇 달 만에 두 배 가까이 오른 종목을 '저렴하다'고 평가하긴 어렵지만, 투자자들은 CATL을 예외로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날 중국 증시에서 CATL 주가는 전장 대비 0.44% 오른 368.49위안에 거래를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표했던 지난 4월 당시 211위안선까지 밀렸던 주가는 이후 약 75% 급등했고, 시가총액은 1100억 달러(약 154조원) 늘어났다.
글로벌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할 것이란 기대감이 CATL의 주가 급등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CATL은 전기차 및 ESS용 배터리 시장에서 1위 기업이다.
시장조사업체 글로벌 마켓 인사이트에 따르면 세계 ESS 시장 규모는 지난해 6687억달러(약 933조 8400억원)에서 2034년까지 5조 1200억달러(약 7150조 800억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인공지능(AI) 붐으로 데이터센터 전력이 급증하면서 기업들이 인프라 교체, 신규 전력망 구축 대신 ESS를 효율적인 대안으로 주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미국에선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법 발효 후 태양광, 풍력은 청정전력 생산시설 투자세액공제에서 제외되지만 ESS는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또한 중국 정부는 오는 2027년까지 ESS 저장 용량을 현재 대비 거의 두 배인 180GW(기가와트)로 늘리겠다고 지난 12일 발표했다. 이를 위해 약 2500억위안(약 35조원)의 투자가 집행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 같은 소식에 CATL 주가는 지난 15일 10% 가까이 급등하기도 했다.
현재 CATL 주가는 향후 12개월 예상 수익 대비 22배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는 글로벌 배터리업계 평균 대비 낮은 수준으로, 전문가들은 주가가 잠재적 성장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BNP파리바 자산운용의 록시 웡 선임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AI는 전 세계적인 전력 수요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ESS는 용량을 확장하는 가장 빠른 방법"이라며 “ESS는 LFP(리튬인산철) 배터리에 크게 의존하는데 CATL이 해당 분야에서 확실한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JP모건체이스는 최근 CATL을 두고 “세계에서 가장 저렴한 배터리 관련주"라며 목표주가를 480위안으로 26%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도 '비중확대'(Overweight)로 높였다. 이날 종가를 기준으로 30% 추가 상승이 여력이 있다는 것이다.
CLSA의 호레스 체 애널리스트 역시 “이번 주가 상승은 재평가의 시작에 불과하다"며 “규모의 경제성과 공급망 최적화 덕분에 CATL은 ESS용 배터리 분야에서 경쟁사 대비 훨씬 높은 수익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CATL의 강세는 중국 증시 전반의 상승세와도 맞물려 있다. CATL이 속한 중국 CSI300 지수는 4월 저점 대비 25% 가량 올랐다.
다만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성장이 둔화하고 있는 것은 주요 리스크로 꼽힌다. 유럽 완성차 업체들의 수요 둔화와 중국 내 과열 경쟁이 CATL의 전기차 배터리 부문에 역풍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여기에 미국의 보조금 중단 및 관세 정책도 테슬라와 포드 등을 주요 고객사로 확보한 CATL에 부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ATL은 중국 증시의 대표적 우량주로, 해외 자금 유입이 재개될 경우 가장 먼저 수혜를 볼 기업으로 지목된다. 맥쿼리의 유진 시아오 중국 주식 전략 총괄은 “외국인 자금이 돌아올 경우 CATL이 최대 수혜주가 될 것"이라며 투자의견을 '매수'로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