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퇴근길 경기도 버스 92% 멈춰서나…노조 오늘 파업 찬반투표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09.20 10:25
clip20220920102458

▲퇴근길에 버스 타는 시민들.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이하 협의회)가 20일 파업 돌입 여부를 결정할 찬반투표를 진행하면서 출퇴근길 버스 운행에 차질이 빚어질 지 주목된다.

협의회는 앞서 사용자 단체인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과의 단체 교섭이 최종 결렬됨에 따라 지난 14일 경기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에 노동쟁의조정을 신청했다.

지노위 조정 기한은 총 15일로 최종 시한은 오는 29일로, 협의회는 이때까지 지노위가 주관하는 두 차례 조정 회의를 갖는다.

29일로 예상되는 2차 조정회의까지 결렬되고 모두 결렬되고 이날 파업 찬반투표도 가결될 경우, 협의회는 합법적 파업권을 획득하게 된다.

파업은 소속 조합원 1만 8000여명 중 과반이 찬성할 경우 가결된다.

투표는 이날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협의회 소속 47개 버스업체별로 진행되고 투표 결과는 이날 오후 7시 전후로 집계될 전망이다.

파업이 최종 결정되면 협의회는 30일 첫 차부터 전면 총파업에 돌입할 방침이다.

버스 대수는 1만 600여대(공공버스 2100여대, 민영제 노선 8500여대)로 도내 전체 노선버스 92%를 차지한다.

협의회 측은 장시간 운전 문제 해소와 저임금으로 인한 운전인력 유출 해결을 위해 1일 2교대제 전환 및 서울시 수준의 임금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사측은 최근 경유가 등 원자재비 상승으로 경영상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이 때문에 경기도가 나서서 버스 사업의 근본적인 구조 개선을 이뤄주지 않으면 노조 측 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에 경기도는 지난 15일 시내버스 노선 준공영제 전환과 임금 인상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경기도 시내버스 안정화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대책안에는 도가 광역버스에만 운영 중인 ‘노선 입찰제 준공영제’를 2026년까지 시내버스 200개 노선에도 확대 적용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또 준공영제 버스 기사 임금을 서울·인천 수준으로 단계적 인상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노선 입찰제 준공영제는 버스회사가 영구 면허를 소유하는 기존 준공영제와 달리 공공이 노선권을 소유한다. 이를 공개경쟁입찰로 선정된 운송사업자에 일정 기간 운영권을 위탁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협의회는 도가 전체 10%에 불과한 시계노선(2개 이상 시군간 운행하는 노선)만을 준공영제로 전환하려 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협의회 측은 "도는 시계노선 중 적자인 40%에 지원금을 주면 나머지 노선의 근로조건이 개선될 거로 보고 있지만, 이는 낙수효과만 기대하는 것일 뿐 근본적 대책이 아니다"라며 "약속을 지켰다는 생색내기용 침소봉대"라고 주장했다.

협의회는 이날 파업 찬반투표에 이어 오는 26일에는 경기도청 앞에서 총파업 결의대회를 가질 계획이다.


hg3to8@ekn.kr

안효건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