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3대 강국으로 도약한다...2030년 전기차 330만대 생산·점유율 12% 달성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09.28 15:05

향후 5년간 '95조원+α' 규모 투자…미래차 전문인력 3만명 양성

수출 대기…야적장 가득 채운 자동차<YONHAP NO-3953>

▲야적장 가득 채운 자동차.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김종환 기자] 정부가 자동차 산업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2030년 전기차 부문에서 330만대 생산과 세계 시장 점유율 12%를 달성한다. 아울러 향후 5년간 자동차 업계가 계획 중인 ‘95조원+α’ 규모 투자에 대한 걸림돌을 해소하고 미래차 전문인력 3만명 양성을 목표로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EC룸에서 이창양 산업부 장관 주재로 ‘자동차 산업전략 원탁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자동차 산업 글로벌 3강 전략’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이를 달성하기 위한 4대 전략으로 △전동화 글로벌 탑티어(top-tier) 도약 △생태계 전반의 유연한 전환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 △자율주행 및 모빌리티 신산업 창출을 제시했다.

산업부는 미래차로의 신속하고 유연한 전환(Fast but Smooth Transition)과 모빌리티 신산업으로의 자동차 산업 경계 확장을 통해 자동차 산업 3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담았다.

우선 전동차 톱티어 도약을 위해 지난해 기준 5% 수준인 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을 2030년 12%까지 끌어올려 전동화 글로벌 탑티어(Top-tier)로의 도약을 추진하기로 했다.

전동화 경쟁력의 핵심 요소인 소프트웨어·반도체 분야의 역량을 강화해 ‘소프트웨어가 중심인 차(SDV, Software Defined Vehicle)’로의 전환을 가속화한다.

이를 위해 2026년까지 운영체제(OS), 무선업데이트(OTA) 등 차량용 핵심 소프트웨어를 국산화할 예정이다. 또 미래차 인력양성 사업(2022년 224억원)을 확대 개편해 2030년까지 기업 수요 중심의 소프트웨어 융합인력 1만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완성차사, 개발자, 정부 간 오픈 이노베이션 사업을 추진하고 차량용 소프트웨어 인증 지원센터를 구축해 2030년까지 차량용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300개를 집중 육성할 방침이다.

차량용 반도체는 △핵심기술 선점 △공급망 내재화 △생태계 조성 △기업지원 등 4대 추진전략을 통해 프로세서, 센서, 전력반도체 등 16대 핵심품목을 집중 개발해 세계시장 점유율을 2021년 3.3%에서 2030년 6.6%로 2배로 끌어 올린다는 계획이다.

목표 지향형 기술개발을 통해 주행거리·전비·가격·디자인 등에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한 전기·수소차 개발을 추진한다.

전기차는 전기·전자 통합 제어 시스템 및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 개발 등을 통해 초급속 80% 충전 기준 현재 18분인 충전속도를 2030년 5분까지 단축하고 현재 500km 수준인 1회 충전 주행거리를 2025년 600km까지 늘릴 계획이다.

수소차는 차세대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해 상용차 기준 현재 30만km 수준인 내구성을 2030년 80만km까지 확대하고 연비도 현재 13km/kg 수준에서 2030년 17km/kg까지 대폭 개선할 예정이다.

또 규제 걸림돌 해소, 세제 지원 등을 통해 완성차 업계의 향후 5년간 95조원+α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밀착 지원해 투자를 촉진하기로 했다.

기존 내연기관차 중심 생태계의 미래차 전환 과정에서 전환 비용(Legacy cost)을 최소화하고 내연기관의 캐시카우(Cash-cow) 역할도 함께 고려될 수 있도록 생태계 전반의 유연한 전환을 모색할 예정이다.

내연기관차 부품기업의 사업 다각화를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미래차 전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2030년 신차 판매의 약 절반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내연기관차의 고도화도 병행할 예정이다. 건강하고 경쟁이 있는 시장구조를 위해 중형 3사 및 협력사의 경쟁력 유지·강화를 지원하고 신규 기업(New player) 진입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최근 가속화되고 있는 자동차 분야 자국 중심주의에 적극 대응하고, 공급망 혁신을 통해 안정성을 제고하기로 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IRA)에 민·관 합동으로 총력 대응해 이번 전기차 세액공제 개편으로 인한 우리 자동차 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주요국의 자국 중심주의에 대응하여 주요 시장별 맞춤형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공급망 안정성 확보를 위해 민·관 공급망 공조를 강화하고 핵심품목을 국산화할 예정이다.

이어 2027년 완전자율주행(레벨 4) 상용화를 목표로 자율주행 차량 개발을 추진하고 모빌리티 혁명에 대응하여 자율주행·커넥티드 기반 신산업을 창출하기로 했다.

자율주행 핵심기술 개발을 적극 지원해 현재 선진국 대비 84% 수준인 자율주행 핵심부품 경쟁력을 2027년 100% 수준으로 제고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공공서비스(교통약자 이동지원, 순찰 등), 언택트 서비스(무인상점, 헬스케어), 인포테인먼트(AI관광안내) 등 자율주행·커넥티드 기반 서비스 콘텐츠 개발과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데이터 공유·활용 촉진, 선제적 표준 제정, 규제 개선 등 모빌리티 신산업 창출 기반을 조성할 방침이다.

이 장관은 "미국 IRA 법안 등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현재 자동차 산업에 닥쳐온 파고를 넘어 우리 자동차 산업이 한 단계 더 높은 곳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민·관이 머리를 맞대야할 시점"이라며 "앞으로도 업계와 지속 소통하면서 세부 분야별 정책을 구체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axkjh@ekn.kr

김종환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