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카오 CI. |
2일 카카오는 피해 보상 및 지원을 위해 구성한 ‘1015 피해지원 협의체’의 2차 전체 회의를 전날 오후 개최하고, 접수된 피해 사례를 유형별로 분류해 협의체 위원들에게 공유했다고 밝혔다. 앞서 카카오는 지난 10월 19일부터 11월 6일까지 총 19일간 공식 채널을 통해 피해 사례를 접수받았다.
카카오에 따르면 접수된 10만5116건 중 83.0%에 해당하는 카카오 사례 8만7198건을 대상으로 분류를 진행했다. 피해 신고 주체는 일반 이용자가 89.6%로 가장 많았고 소상공인 10.2%, 중대형 기업 0.2% 인 것으로 확인됐다. 전체 사례 중 유료 서비스에 대한 피해 접수 건수는 1만4918건(17.1%), 무료 서비스 중 금전적 피해를 언급한 내용은 약 1만3198건(15.1%)이었으며, 이 외 접수된 67.8%는 금전적 피해와 관련없는 문의, 의견, 항의, 격려 등으로 파악됐다.
카카오 측은 "이날 전체회의에서는 피해 접수 사례에 대한 세부 내용 파악과 함께 보상에 대한 대원칙 수립 논의가 진행됐다"라며 "협의체는 향후 지속적으로 회의를 진행해 피해 유형에 따른 세분화된 지원 기준 등을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hsjung@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