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최대 무역흑자 올린 나라는 베트남…작년 수지 342억달러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1.04 16:26

무역흑자국 3년 연속 1위 기록한 홍콩 제치고 처음 1위 올라
中 코로나 봉쇄 정책에 수출 급감으로 대중 수지 22위로 밀려
원유·천연가스 수입액 급증에 사우디·호주가 적자국 1·2위

20230104002986_AKR20230104006900003_02_i

▲2022년 12월 및 연간 수출입 동향.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김종환 기자] 베트남이 홍콩을 제치고 처음으로 우리나라 최대 무역수지 흑자국으로 떠올랐다.

4일 산업통상자원부의 2022년 12월 및 연간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한국의 작년 대(對) 베트남 무역 수지 흑자 규모가 342억 5000만달러(약 43조원)로 집계됐다. 수출이 609억 8000만달러, 수입은 267억 2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작년 한국의 무역 흑자액 1위로 연간 기준으로 베트남이 우리의 최대 무역 흑자국에 오른 것은 처음이다.

특히 작년에는 한국과 베트남의 수교 30주년을 맞은 해로 그간 다양한 분야에 걸쳐 양국의 투자와 협력이 강화되면서 흑자가 대폭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베트남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에서 글로벌 기업의 생산 기지로 부상하고 있다"면서 "베트남이 최대 무역 흑자국이 된 것은 우리 기업이 활발히 진출하며 긴밀한 경제 파트너로 자리매김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작년 한국의 무역 수지 흑자는 베트남에 이어 미국(280억 4000만달러), 홍콩(257억 9000만달러), 인도(99억 8000만달러), 싱가포르(98억 6000만달러) 등의 순으로 컸다.

대미 수지는 수출액이 전년 대비 14.5% 증가하며 지난 2017년 이후 6년 연속 증가한 영향이 크다. 작년 대미 수출액(1098억 2000만달러)은 처음으로 1000억달러를 돌파했다.

대표적인 신흥 무역시장인 인도로의 작년 수출액(188억 8000만달러)은 전년 대비 21.0% 급증하며 사상 최대치에 이르렀다.

수출 호조에 힘입어 인도는 지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한국의 무역 흑자국 5위에서 지난해 4위로 한 단계 상승했다.

반면 지난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 연속 한국의 무역 흑자국 1위였던 홍콩은 지난해 3위로 떨어졌다.

지난 2018년 흑자국 1위였던 중국의 경우 2019년 2위, 2020∼2021년 3위였다가 지난해(12억 5000만달러)에는 22위로 밀려났다.

대중 무역수지가 20위 밖으로 밀려난 것은 1992년 적자를 기록한 것을 제외하고 흑자를 기록한 해 중에서는 작년이 처음이다.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과 지역 봉쇄에 따른 경제 성장 둔화로 대중 수출은 감소했지만 리튬을 비롯한 산업용 원자재 가격 급등 등으로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급증했기 때문이다.

중국으로 중계무역이 많은 홍콩과의 무역수지도 함께 축소됐다.

작년 한국의 수출은 역대 최대인 6839억달러를 기록하며 세계 6위(1∼9월 기준)로 한 단계 도약했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에 따른 에너지 가격 폭등으로 수입액이 급증하며 무역수지 적자가 472억달러(약 60조원)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그만큼 한국의 흑자 교역국뿐 아니라 적자 교역국 순위에도 큰 변동이 생겼다.

작년 한국의 무역 적자국에는 에너지 자원 부국인 사우디아라비아(-367억1000만달러)와 호주(-260억9000만달러)가 1, 2위를 차지했다.

두 나라는 각각 우리나라의 최대 원유, 천연가스 수입국인데 작년 글로벌 에너지 수급난에 따른 가격 폭등으로 수입액이 대폭 늘며 무역수지가 크게 악화한 것이다.

지난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7년 연속 무역 적자국 1위였던 일본은 지난해 3위(-240억7000만달러)로 내려갔다.

카타르(-160억2000만달러), 독일(-134억5000만달러)이 지난해 한국의 무역 적자국 4, 5위를 기록했다.
axkjh@ekn.kr

김종환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