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고객정보 유출 사고 한 번 더 사과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4.27 14:46
LG유플러스 영문CI

▲LG유플러스 CI.

[에너지경제신문=정희순 기자] LG유플러스가 "올해 초 발생한 정보유출과 인터넷 접속 오류로 인해 불안과 불편을 느끼셨을 고객분들께 다시 한 번 사과드린다"고 27일 밝혔다.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LG유플러스 사이버 침해사고 원인분석 및 조치방안’을 발표한 데 따른 입장이다. 과기정통부는 LG유플러스에서 2018년 6월께 생성된 29만7117명분 개인 정보가 고객 인증 시스템에서 유출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고객 정보 유출과 인터넷 접속 장애의 공통 원인으로 정보보호 인력·조직·투자 부족을 지목하고 LG유플러스에 이를 다른 통신사 수준까지 끌어올리라고 요구했다.

LG유플러스는 "사고 발생 시점부터, 사안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과기정통부 원인 분석 결과에 따른 시정 요구사항을 전사적인 차원에서 최우선으로 수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LG유플러스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2월 최고경영자(CEO) 직속의 사이버안전혁신추진단을 구성하고, △사이버 공격에 대한 자산 보호 △인프라 고도화를 통한 정보보호 강화 △개인정보 관리 체계 강화 △정보보호 수준 향상 등 4대 핵심 과제에 102개 세부 과제를 선정해 수행하고 있다. 이를 위한 1000억 규모의 대규모 투자도 진행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사고 직후 개인정보 보호 및 디도스 방어를 위한 긴급 진단과 보안 장비(IPS) 및 솔루션 도입, 클라우드를 활용한 서비스의 긴급 점검, 접근제어 정책(ACL) 강화 등 즉시 개선이 가능한 부분들은 조치 완료했다. 정보기술(IT) 통합 자산관리 시스템, 인공지능(AI) 첨단기술을 적용한 모니터링, 중앙 로그 관리 시스템, 통합관제센터 구축에 대한 세부 과제도 착수했다.

또 화이트 해커 등 외부 전문가를 활용한 취약점 점검 및 기술적 예방활동 강화, AI기반 개인정보 탐지 시스템 구축, IT서비스 이상행위 모니터링 시스템 고도화를 위해 세부 과제를 수립하고 추진 중이다. 외부 전문가 그룹과 협력해 현 보안 수준을 점검하고 향후 개선방향 도출을 위한 자체 진단도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외부 전문가 그룹으로 구성된 정보보호자문위원회를 본격 가동하고, 회사 내 최고정보보호책임자(CISO), 개인정보보호 최고책임자(CPO) 조직 개선과 전문 인력투자, 개인정보의 관리체계 개선, 미래보안기술 연구투자, USIM 무상 교체, 피해보상협의체 운영, 대학 및 교육기관과 연계된 사이버 보안 전문인력 육성 등도 함께 이행해 나가고 있다.

LG유플러스는 개인정보를 비롯한 전사적인 정보보호 강화 활동을 지속하고, 향후 종합적 보안 대책을 상세히 설명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그동안 외부에서 주신 다양한 염려와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고, 뼈를 깎는 성찰로 고객들에게 더 깊은 신뢰를 주는, 보안, 품질에 있어 가장 강한 회사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hsjung@ekn.kr

정희순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