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A2023] "카카오표 생성AI, 가장 전문적인 영역에서 '진가'"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5.31 14:31

카카오브레인, AI 언어모델 ‘코GPT’이미지 생성 AI ‘칼로’ 곧 서비스

KakaoTalk_20230531_122930893_01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가 31일 서울파르나스에서 열린 ‘GAA 2023’에서 이미지생성 AI ‘칼로’로 만든 그림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윤소진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윤소진 기자] "모든 영역에서 인간을 뛰어넘는 슈퍼 인공지능(AI)의 탄생이 머지않았습니다. 카카오는 가장 고도화되고 전문화된 영역에서 능력을 발휘하는 AI를 선보일 것입니다."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는 31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서울파르나스에서 열린 AI 컨퍼런스 ‘GAA 2023’에서 ‘AI딥테크 기업의 생태계 전략’이라는 주제로 연단에 올라 이같이 말했다.

카카오의 AI 자회사 카카오브레인은 하반기 출시 예정인 AI 언어모델 ‘코GPT’, 이미지 생성 AI ‘칼로’, AI 기반 ‘영상판독 기술’ 등을 중심으로 AI 관련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앞서 카카오브레인은 2021년 11월 한국어 특화 AI 언어 모델 ‘코GPT’를 공개했으며 올 하반기에는 ‘코GPT 2.0’을 선보일 예정이다. ‘칼로’는 입력한 제시어를 바탕으로 고품질의 이미지를 빠르게 만들어내는 생성형AI다.

이날 김 대표는 ‘칼로’로 구현한 다양한 이미지와 아직 공개 전인 ‘코GPT 2.0’으로 작성한 수필을 예로 들며 카카오의 AI 개발 방향성을 설명했다. 그는 "과거 AI 등 딥테크 기술의 발전에도 예술과 창작은 인간이 가장 마지막까지 지켜낼 영역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며 "예상과 달리 현재 AI가 가장 적극 활용되는 분야는 창의성을 필요로 하는 창작의 영역"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사람과 유사한 레벨의 창작 능력을 갖춘 AI의 등장으로 활용 범주가 굉장히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기존 1세대 AI가 특정된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했다면, 2세대라 할 수 있는 생성형AI는 폭넓은 일반지식과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기반으로 전 산업 분야에 접목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김 대표는 "법률, 의료 등 높은 수준의 지식이 있어야 하는 전문영역에서 생성형AI가 능력을 제대로 발휘한다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업의 새로운 수익모델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카카오브레인은 전문 영역에서 AI모델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카카오브레인의 AI 의료 영상 판독 기술은 3~4년 차 의사 수준의 진단을 1초 이내에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부연했다.

김 대표는 "오픈AI의 챗GPT가 촉발한 생성형AI의 발달이 세상을 변화시킬 것"이라며 "인간의 신념이나 사회적 문제를 일으킬 우려, 산업에 적용하는 방식과 같은 기술적 문제 등이 과제로 남아있지만, 많은 기업이 기술적 진보를 통해 전문화된 영역의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sojin@ekn.kr

윤소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