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토스뱅크는 5일 ‘토스뱅크 케어’를 도입한 전월세보증금대출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토스뱅크 케어에는 ‘토스뱅크가, 고객이 겪는 어려움을, 함께 고민하고 풀어나간다’는 의미가 담겼다. ‘전세지킴보증’, ‘등기변동알림’, ‘다자녀 특례 대출’ 등 총 3가지로 구성됐다.
토스뱅크 케어 첫 번째인 전세지킴보증은 고객들이 전월세보증금대출을 받은 후 전세보증금반환보증도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반환보증은 전세계약 종료 시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전세보증금 반환을 책임지는 상품이다. 고객들은 토스뱅크에서 대출과 함께 보증에 가입할 수 있다.
토스뱅크는 한국주택금융공사(HF)와 손잡고 인터넷은행 최초로 전세지킴보증을 도입했다. 고객 혜택을 높이면서 동시에 보증료도 절감했다. 고객들은 그동안 적게는 수십 만원에서 많게는 수백만 원에 달하는 보증료를 부담해야 했지만 토스뱅크는 주금공과 최저 연 0.02~0.04%의 보증료를 적용한다.
토스뱅크는 연말까지 전세지킴보증 가입 고객을 대상으로 최대 10만원까지 보증료를 지원하는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예를 들어 보증금이 2억원인 고객의 경우 부담해야 할 보증료는 최저 8만원이다.
대상은 확대했다. 전 은행권을 통틀어 비대면 서비스 최초 단독주택, 빌라, 다가구주택 등까지 전세지킴보증 보장 범위를 넓혔다. 기존 비대면 반환보증이 시세의 명확성을 이유로 아파트, 오피스텔 등 집합건물에만 적용됐던 것에서 나아가 토스뱅크는 고객들의 ‘내가 살게 될 집’을 선택할 기회를 한층 넓혔다.
두 번째 토스뱅크 케어인 등기변동알림은 집주인의 재산상 정보 변동이 생길 때마다 토스 앱을 이용해 푸시 알림을 제공한다. 집주인과의 계약이 체결된 후 내가 살고 있는 집에, 혹은 살게 될 집에 변동사항이 생길 경우 고객에게 알림이 간다.
이 서비스는 토스뱅크가 부동산 권리 조사 서비스 기업인 ‘리파인’과 함께 무료로 제공한다. 집주인 변동부터 담보 대출 실행, 가압류 등 내가 사는 집을 둘러싼 변화를 한 눈에 알 수 있어 세입자의 발 빠른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토스뱅크는 전망한다.
토스뱅크 케어의 세 번째인 ‘다자녀 특례 대출’은 토스뱅크가 인터넷은행 최초로 시행하는 것이다. 다자녀 특례 대출은 미성년 자녀 수가 2명 이상인 고객이 대상으로, 임차보증금의 88% 한도로 최대 2억2200만원까지 대출이 이뤄진다. 소득이나 부채 수준과 무관하게 대출한도와 보증료 우대를 받을 수 있다.
토스뱅크 전월세보증금대출은 다자녀특례 외에 일반, 청년으로 구성되지만, 고객 소득과 나이, 가족 구성원의 유무에 따라 토스뱅크가 맞춤형으로 제안한다. 일반의 경우 고객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 상품으로 임차보증금의 88% 한도로, 최대 2억2200만원까지 대출이 이뤄진다. 단 소득과 부채 비중 등이 적용된다.
청년은 만 34세 이하의 청년이면서 동시에 무주택자가 대상이다. 임차보증금의 90% 한도로, 최대 2억원의 대출이 이뤄진다.
일반·다자녀 특례 전월세보증금대출 금리는 연 3.32∼5.19%, 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 금리는 연 3.42∼4.06%다.
토스뱅크의 맞춤형 대출 제안에 따라 고객들은 자신에게 최적화된 대출서비스를 제안받고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 34세 이하면서 무주택자이지만 자녀를 2명 이상 둔 고객이라면 청년, 다자녀특례 상품을 모두 토스뱅크가 제안해 고객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토스뱅크 케어를 통해 고객 불안감을 없애고 편리함과 안정감을 모두 지켜갈 수 있도록 이번 상품을 기획했다"며 "‘첫 독립을 위한 보금자리’, ‘첫 신혼집’, ‘사회에 첫 발을 내딛은 공간’ 등 인생에서 눈부신 순간으로 기억될 수 있도록 토스뱅크가 함께하겠다"고 말했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