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
5일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중도퇴직자 37명 중 30대 이하가 27명으로 72.97%를 차지했다. 한국은행 퇴직자 10명 중 7명이 30대 이하인 셈이다.
유동수 의원은 "한국은행이나 수출입은행 등 중앙은행과 국책은행은 높은 월급과 안정성으로 한때는 취준생들에게 이른바 ‘신의 직장’으로 불렸다"며 "하지만 최근 청년직원들이 어렵게 입사한 한국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을 중도에 퇴사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2021년부터 상반기까지 2030세대 청년 퇴직자 수는 52명으로 전체 중도퇴직(정규직 기준 80명)의 65%에 이른다. 30대 이하 비중이 △2019 년 60% △2020년 63.64%였던 점을 고려하면 청년 직원의 이탈률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직급별로 살펴보면 중도퇴직자 중 4급(과장) 이하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중도퇴직자 중 4급 이하 비중은 △2019년 60% △2020년 63.64% △2021년 72.73% △2022년 75.68%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책은행도 예외가 아니다. 지난해 수출입은행 퇴직자 15명 중 30대 이하 비율은 60%였다. 올해 상반기 수출입은행 퇴직자 4명 중 3명이 30대 이하였다.
유 의원은 "한국은행과 국책은행 인력 유출 증가는 기관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며 행정적 비용 역시 증가할 수 있다"며 "특히 청년직원의 조기 퇴사 증가는 기관 미래를 이끌어갈 동력을 상실하는 것인 만큼 퇴사 원인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신의 직장과 걸맞지 않은 보수가 중앙은행과 국책은행의 퇴사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고 유 의원은 설명했다.
2018년 한국은행과 수출입은행 평균 임금은 5대 시중은행과 견줘 볼 때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당시 시중은행 평균 임금은 △농협은행 1억454만원 △신한은행 9863만원 △우리은행 9700만원 △하나은행 9590만원 △국민은행 9252만원 순이었다. 당시 한국은행(9940만원)과 수출입은행(1억240만원)은 농협은행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순위를 나타냈다 .
하지만 지난해 한국은행 평균 임금은 1억330만원으로 우리은행(1억1057만원), 신한은행(1억1297만원) 등 모든 5대 시중은행 평균 임금보다 낮게 나타났다. 같은 기간 수출입은행 평균 임금(1억690만원) 역시 5대 은행 평균 임금과 벌어졌다.
유 의원은 "더 이상 직원들에게 국가 발전을 위한 사명감만으로 장기간 근무를 강요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중앙은행과 국책은행은 변화하는 시대 흐름에 발 맞춰 우수한 인재들이 자발적으로 장기간 근무할 수 있는 유인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