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화전자, 오너 빠진 유증과 '뚱딴지' 해명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10.05 16:16

'13년 연속 적자'삼화전자, 재무구조 개선 차원 유증



삼화전자공업 "지분율 조정 차원" 해명 내놨지만



유증 후 오영주 회장, 삼화전자 지분율 8%로 줄어



삼화콘덴서·삼화전기의 절반… 소액주주와 이해상충


[에너지경제신문 박기범 기자] 폐라이트 코어 제조사 삼화전자의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과정에서 정작 오너는 ‘지분율 조정 차원’을 이유로 들어 유상증자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회사는 13년 연속 적자 늪에 빠져 턴 어라운드가 절실한 상황이지만 오너가 지분율을 낮추는 선택을 택하며 소액주주와 이해상충이 예상된다.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삼화전자공업은 주주 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3520원(예정)에 480만주(1주당 0.3173315589주)를 새롭게 발행, 168억9600만원을 조달하는 유상증자를 발표했다. 조달한 자금은 △친환경 자용차용 설비 증설을 위한 시설자금으로 84억원 △단기차입금 상환에 65억원 △운영자금으로 20억원을 사용될 예정이다.


◇13년 연속 적자…"구조적 악순환"


실적
하지만 삼화전자공업은 13년 연속 적자인 기업으로. 2021년 이후 매출원가율이 90%를 웃돈다. 100원을 팔면 90원은 원가로 사용된다는 것이다. 문제는 향후 원가율의 개선 가능성도 높지 않다. 매출액의 약 50~60%를 차지하는 주요 원재료인 복합망간과 복합니켈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원재료

게다가 현금흐름에 영향을 주는 대금 회수 지표도 녹록지 않아 보인다. 올 상반기 삼화전자의 매출채권 회전율은 연결 기준 0.33회다. 매출로 발생한 채권이 3년이 지나서야 회수된다는 의미다. 2021년 비금속광물제품 기준 매출채권 회전율은 5.96회다.

대금회수가 어려운 가운데 자금 경색을 막기 위해선 부득이하게 할인 및 팩토링이란 선택지를 꺼내야 하는데, 이는 소구성 여부에 따라 차입금 및 향후 이자비용 등으로 인식돼 재무구조 및 손익을 악화시키고, 결국 유입 현금을 줄어들게 한다.

회수율이 떨어지는 채권인만큼 대손충당금 비율도 높다. 충당금 설정 과정에서 개별채권의 신용위험이 반영되기 때문이다. 삼화전자는 2020년 이후 연결 기준 채권의 30% 이상을 대손충당금으로 설정했다. NH증권은 "계열사인 청도삼화전자(유)의 전액 자본잠식에 따라 매출채권회수가능성이 낮아 높은 충당금설정률을 적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투업계에서는 삼화전자의 장기간 이어진 적자는 재무비율의 악화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2017년 말 재무구조 개선의 일환으로 감자와 유상증자를 모두 단행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NH증권은 "삼화전자의 유동비율, 부채비율, 차입금의존도 등 재무안정성 비율은 과도한 유동성부채로 인해 악화돼 있다"면서 "최근 3년 간 연결 및 별도기준으로 모두 지속적인 영업손실이 발생함에 따라 이자비용을 지급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요약했다.


◇턴어라운드 방안 대신 지분 축소


그간 삼화전자는 물가상승을 쫓아가기에도 버겨운 매출 실적을 냈다. 삼화전자의 최고 매출액은 2011년이다. 이후 10년간 매출은 정체되며 350억 ~ 500억원 사이에서 횡보세를 보였다.

10년간 성장이 정체됐고, 적자가 이어지는 상황이다 보니 회계법인들 역시 계속기업의 가정이 불확실하다는 시그널을 지속적으로 보내고 있다. 장기간 성장이 멈춰버린 삼화전자로서는 흑자 전환과 성장을 위한 분명한 비전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오영주 회장은 그룹사 지분율 조정 차원에서 유상증자 참여를 선택하지 않았다.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자의 삼화전자 지분율은 44.44%로 삼화콘덴서와 삼화전기의 28.15%, 25.53%보다 높다. 또 오너가 참여하지 않더라도 유상증자 후 예상지분율이 38.95%로 지배력 확보에는 문제가 없다.

삼화전자 관계자는 "최대주주가 전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지분 구조 차원에서 봤을 때 전반적으로 높았던 지분율 조금 낮추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다만 최대주주만으로 시야를 좁혀본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오영주 회장은 삼화콘덴서공업과 삼화전기 지분율을 각각 16.16%, 20.51% 보유하며 삼화전자의 11.19%를 상회한다. 아울러 이번 유상증자를 참여하지 않는다면 삼화전자의 지분율은 8.02%로 삼화전자 이외 양 사 보유 지분율이 삼화전자의 2배를 웃돈다. 지분율 조정이란 회사 측의 설명이 삼화콘덴서 그룹 차원에서는 설명이 되지만 오너의 유상증자 참여 여부 관점에서 볼 때 설득력이 떨어지는 이유다.

지배구조

▲출처/금감원 전자공시


한편 오너 지분율과 경영은 별개의 문제이지만, 삼화콘덴서 그룹은 특별한 지배구조를 갖고 있다. 오영주 회장 등 대주주를 중심으로 지분구조가 형성돼 있다. 이는 홀딩스 체계로 수직계열화 됐을 때와 달리 지분율에 따라 그룹 계열사에서 받는 배당금을 조절 가능하다는 의미다.

회사 관계자는 "오너가 참여하지 않으면 턴어라운드가 안 되는 거 아니냐는 오해가 있을 수는 있지만 그런 취지가 아니다"면서 "관계사들이 모두 참여하고 있기에 삼화전자가 턴어라운드 하지 않으면 관계사가 모두 피해를 입는다"고 설명했다.

결국 회사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소액주주와의 이해상충 문제는 불가피해 보인다. 지난 5월 테슬라의 페라이트 사용 기대감에 급등한 주가가 이미 반토막난 상황인데 오너가 빠진 재무구조 개선 차원의 유상증자까지 발표되며 주가는 고점 대비 3분의 1토막으로 주저앉았기 때문이다.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시장에 참여하는 대주주와 소액주주 간의 이해관계가 서로 다를 수 있다"면서 "이해상충은 자본시장에 늘 잠재되어 있고 회사행위를 통해 구체적인 현상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현상이 지속적으로 반복된다면 결국 자본시장의 공정성을 해치고 시장기능을 약화 내지는 상실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기범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