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AI 스피커 활용 인지훈련 ‘두뇌톡톡’, 노인 치매 늦췄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12.11 16:06
SKT, AI 스피커 활용 노인 인지훈련 두뇌톡톡 성과 입증

▲SK텔레콤은 자사 AI 스피커 기반 기억훈련 프로그램 ‘두뇌톡톡’이 노인 치매 이환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고 11일 밝혔다. 사진은 성동구의 한 가정에서 AI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습

[에너지경제신문 김태현 기자] SK텔레콤은 자사 인공지능(AI) 스피커 기반 기억훈련 프로그램 ‘두뇌톡톡’이 노인 치매 이환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고 11일 밝혔다.

SKT는 지난 2021년 6월부터 2023년 6월까지 부여군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치매 예방 사회성과보상(SIB)사업을 진행했다. 치매 고위험군인 경도인지장애자를 대상으로 인지치료와 AI기반 ‘두뇌톡톡’ 서비스를 제공했다.

경도인지장애는 동일한 연령대에 비해 기억력이나 기타 인지기능 중 한 가지 영역 이상에서 저하가 있으나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능력은 보존돼 있어 치매가 아닌 상태의 장애를 의미한다.

사업 평가기관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에 따르면 사업기간 2년 동안 경도인지장애 노인 30명 중 약 1명만 치매가 진행됐다. 조사대상의 치매 이환율은 3.24%로 집계됐다.

이는 통상 연간 치매이환율이 약 15% 수준인 것에 비해 낮은 수치다. 일산백병원측은 현재까지의 성과로도 두뇌톡톡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SKT는 ‘두뇌톡톡’ 기반 사회성과보상 사업이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각 지자체들이 인적·물적 부담을 덜고 노령화 사회에 대비할 수 있는 방책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이준영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21년 의료정보학·헬스케어 분야 저명 국제 학술지 ‘JMIR’에 SKT ‘두뇌톡톡’을 지속 이용한 어르신들의 장기 기억력이 13% 향상되고, 작업 기억력이 11.4%, 언어 유창성도 15.5% 향상되는 등 치매 발현 지연에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박정현 부여군수는 "고령화사회 사회적 난제로 떠오른 치매를 개선하기 위해 부여군민이 참여해 AI 기반 인지능력 강화 가능성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성과"라고 전했다.

엄종환 SK텔레콤 ESG혁신담당은 "AI기술 기반의 인지훈련 서비스를 통해 치매 이환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초고령사회에 대비해 노인 인구에 도움이 되는 AI 서비스를 확산시키고 고도화하는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