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소재 중국 의존도 더 높아졌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2.06 13:48

작년 중국산 배터리 수입액 50.7% 증가

중국 의존도 전구체 96.8%, 흑연 95.3%

트럼프 당선 시 韓, 무역보복 피해 당할 수도

포스코퓨처엠

▲포스코퓨처엠의 양극활물질, 음극활물질 등 다양한 배터리 소재. 사진=포스코퓨처엠

배터리셀 및 소재의 중국 수입의존도가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시 중국과의 무역분쟁 가능성이 높고 그 불똥이 우리나라한테 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공급망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6일 한국무역협회 수출입통계에 따르면 작년 우리나라가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리튬이온배터리는 총 81억1423만달러로 전년보다 50.7% 증가했다. 이는 리튬이온배터리 전체 수입액의 95.8%에 달하는 비중이다.


반대로 우리나라가 중국에 수출한 리튬이온배터리 금액은 3억409만달러로 전년보다 9.2% 증가했다. 결국 중국과의 리튬이온배터리 무역수지는 78억1014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중국에서 수입하는 리튬이온배터리 중에는 국내 배터리셀 3사가 현지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도 있다. 현지에서 판매되지 못해 국내로 역수입하는 것이다. 역수입 물량이 크게 늘기 힘들다는 점을 감안하면 작년에 늘어난 수입물량 대부분은 순수 중국산 배터리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수입된 중국산 배터리는 국내 완성차업체의 차량에 탑재돼 국내 시장 또는 해외로 판매된다.


배터리 양극재의 전단계 핵심소재인 전구체의 작년 중국 수입액은 39억9529만달러로 전년보다 5% 증가했다. 이는 전체 수입액의 2.4% 증가보다 2배나 높은 수준이다. 이로 인해 작년 전구체 수입액 가운데 중국 비중은 96.8%로, 2022년의 94.5%보다 더 높아졌다.




전구체에 첨가해 양극재를 만드는 수산화리튬의 작년 중국 수입액은 49억3021만달러로 전년보다 52.6% 증가했다. 전체 수입액에서 중국 비중은 79.7%로, 2022년의 87.9%보다 완화됐다. 칠레 수입액이 전년보다 176.1% 증가한 10억8191만달러를 기록한 덕분이다. 하지만 중국 수입증가율이 50%를 넘고, 비중도 80% 가깝게 나타나면서 여전히 중국 의존도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평가된다.


배터리 음극재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소재인 배터리용 인조흑연의 작년 중국 수입액은 9658만달러로 전년보다 19.8% 감소했다. 전체 수입액 가운데 중국 비중은 95.3%로 2022년의 99.9%보다는 다소 낮아졌지만 여전히 절대적 의존 수준이다.




이 같은 높은 중국 수입의존도는 현 상황에서도 위험하지만, 차기 미국 대통령으로 도날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된다면 더 큰 위험 요인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2022년 8월 우리나라에 배터리 소재 공급망 리스크를 불러 온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은 중국, 러시아, 북한 등 우려국가의 배터리 소재나 부품을 사용한 전기차에 대해선 총 7500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법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적용되는데, 올해부터는 우려국의 배터리 부품 사용이 제한되고 내년부터는 배터리 소재 사용도 제한된다.


다행히 우리나라는 미국과의 협상 끝에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 지위를 활용해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배터리 양극재, 음극재 등 핵심소재가 IRA 요건을 충족시킨다는 결과를 얻어냈다.


하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된다면 모든 게 뒤바뀔 수 있다. 그는 당선 즉시 IRA법 폐기 및 전기차 보조금도 폐지하겠다고 공약했다. 지난 4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는 중국에 60% 이상의 무역관세를 매기겠다고 엄포를 놨다.


이 경우 배터리 기업들로서는 현 사업구조가 상당한 어려움에 처해지고 막대한 투자에 대한 회수도 불투명해진다. 게다가 중국은 미국에 대한 무역보복으로 소재, 광물 수출을 통제할 수 있어 괜히 우리나라까지 그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박철완 서정대 스마트자동차학과 교수는 “국내 기업의 공급망 재편은 경쟁력 약화로 귀결될 우려가 크고, 중국 소·부·장과 셀 메이커의 미국 진출은 현실이 됐다"며 “미 대선 후 정책 변화가 클 것으로 누구나 예상하지만 뚜렷한 대책이 없다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업계의 상황을 진단했다.


배터리 업계는 투자 보류, 원가 절감 등 최대한 보수적 경영전략을 펼치며 미 대선 판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윤병효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