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기업 ‘기술혁신 경쟁력’ 글로벌 존재감 키운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2.26 14:16

삼성 ‘갤럭시 링’ MWC 2024서 전시···이통사도 AI 삼매경

저커버그 등 ‘거물’ 연이어 방한···전기차 앞세운 車도 질주

26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한 'MWC 2024' 삼성전자 부스에서 모델들이 갤럭시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26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한 'MWC 2024' 삼성전자 부스에서 모델들이 갤럭시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재계 주요 기업들이 '기술혁신 경쟁력'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워가고 있다. 인공지능(AI), 전기차 등 미래 산업 분야에서 수출·생산 영토를 넓히고 동맹을 확대하고 있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24(MWC 2024)' 등 국제 박람회에서도 한국 기업들의 영향력이 계속 커지는 모습이다.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6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한 'MWC 2024'에서 앞선 기술력을 선보여 전세계인들의 눈길을 잡고 있다.


애플보다 선제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한 AI폰 분야가 대표적이다. 삼성전자는 행사장에서 '갤럭시 S24 시리즈'를 중심으로 '갤럭시 북4', '갤럭시 탭 S9', '갤럭시 워치6' 등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통신사업자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전시관을 별도로 마련하고 AI·소프트웨어 기반 다양한 차세대 네트워크 솔루션도 알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특히 지난 1월 갤럭시 언팩 행사에서 영상을 통해 처음 공개한 '갤럭시 링'의 실물 디자인도 전시 부스에 최초로 전시했다. 갤럭시 링은 수면 중에도 편하게 착용할 수 있고, 반지 안쪽 면이 손가락을 감싸 세밀한 건강 데이터 측정이 가능하다.


SK텔레콤, KT 등 통신사들도 기술을 앞세워 MWC 2024 현장을 누볐다. SK텔레콤은 도이치텔레콤, 이앤(e&)그룹, 싱텔그룹, 소프트뱅크 등과 'AI 글로벌 동맹'을 맺는다고 발표했다. KT는 도심항공모빌리티(UAM) 관련 역량을 집중적으로 알렸다.




빅테크 기업들도 우리 기업들의 B2B 사업 역량을 눈여겨보고 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한국을 연이어 방문한 데 이어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도 10년만에 방한할 예정이다. 저커버그 CEO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조주완 LG전자 CEO 등과 회동하는 일정을 조율 중이다.


미국 빅테크들은 국내 기업들의 AI 관련 하드웨어 제조 역량이 뛰어나다는 점에 주목한 것으로 분석된다. 저커버그 CEO와 조 사장이 만날 경우 인공지능 및 확장현실(XR)에 관련된 차세대 기술·제품에 대해 대화를 나눌 것으로 보인다. 이 회장은 저커버그 CEO와 개인적이 친분이 있어 AI 반도체 관련 의견을 공유할 가능성이 높다.




AI 시대 고대역폭메모리(HBM) 반도체 시장을 선점한 SK하이닉스도 해외 사업 규모를 더욱 키울 전망이다.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은 미국 내 첨단 패키징 공장 부지 선정을 올해 안에 마무리한다고 밝힌 상태다.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 수요가 급격하게 늘고 있는 만큼 SK하이닉스도 몸집을 더욱 키워 여기에 최적화된 제품을 납품할 것으로 관측된다.


22일(현지시간) 브라질 브라질리아 대통령 집무실을 방문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왼쪽)이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브라질 대통령과 협력 방

▲22일(현지시간) 브라질 브라질리아 대통령 집무실을 방문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왼쪽)이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브라질 대통령과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전동화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현대차그룹은 사업 영토를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생산 공장이 있는 브라질을 거점으로 삼아 중남미 지역 공략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최근 브라질을 방문해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브라질 대통령과 면담했다.


현대차는 오는 2032년까지 11억달러(약 1조5000억원)를 현지에 투자할 방침이다. 정 회장은 룰라 대통령에게 “수소 및 친환경 모빌리티 분야에서 현대차그룹이 기여할 부분이 있으면 적극 참여하겠다"고 말했다. 브라질 정부는 다양한 형태의 친환경 정책을 펼쳐나가고 있다.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5년 대비 50% 감축하고,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게 이들의 목표다.



여헌우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