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곤한 한국인”…하루 집 밖에서 10.3시간 보낸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4.10 11:12

국토연구원 ‘모빌리티 빅데이터를 통해 본 우리 사회의 활동 시공간 특성’ 보고서

10일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은 하루에 집 밖에서 평균 10.3시간을 보내고 이중 2.5시간을 이동에 사용한다.

▲10일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은 하루에 집 밖에서 평균 10.3시간을 보내고 이중 2.5시간을 이동에 사용한다.

우리나라 국민이 하루에 집 밖에서 평균 10.3시간을 보내고 이중 2.5시간을 이동에 사용한다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는 하루 활동 시간의 24%를 이동에 쓰는 것으로, 사회 인프라 시설이 집적된 신도시의 경우 이동시간이 평균보다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토연구원의 '모빌리티 빅데이터를 통해 본 우리 사회의 활동 시공간 특성' 보고서에 따르면 개인의 집 밖 활동 시간이 하루 600분 이하로 비교적 적은 시·도는 제주, 강원, 전북, 충북, 대전이었다.


이는 스마트폰 앱으로 개인 모빌리티 데이터를 구축하는 스타트업인 '위드라이브'의 지난해 3∼5월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반면 경기, 서울, 세종은 집 밖 활동 시간이 620분 이상으로 길었다.


특히 신도시일수록 집 밖 활동시간이 긴 데 비해 이동 거리는 짧은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 19개 신도시 거주자의 이동 거리와 체류 시간을 분석한 결과 평촌, 일산, 광교, 운정 등 9개 신도시의 경우 경기도 평균보다 개인의 이동 거리가 짧고 집 밖 활동 시간이 긴 '지역외향형'인 것으로 분류됐다.




서울과 거리가 먼 2기 신도시인 위례, 판교, 동탄2는 이동 거리가 길고 집 밖 활동 시간도 긴 '광역외향형'으로 분류됐다. 이동 거리가 긴 반면 집 밖 활동 시간은 짧은 '광역내향형' 신도시는 분당, 중동, 김포한강 등이 꼽혔다.


김종학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윈원은 “신도시는 사회기반시설과 의료·보건시설 등이 컴팩트하게 집적돼 있다"며 “다른 지역보다 멀리 가지 않고도 편의시설을 누릴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성별·연령별 이동시간의 경우 여성의 집 밖 활동 시간은 남성의 86%였으며, 이동 거리는 남성의 50%였다. 연령별로는 40∼50대의 하루 평균 이동 거리가 44.5㎞이며 20∼30대는 31.4㎞로 중년층보다 짧았다. 30~50대 남성의 경우 직장 출퇴근으로 인해 이동 거리가 길고, 여성 30~40대는 육아시기에 맞물려 이동 거리가 짧은 영향으로 분석된다.


국토연구원은 축적된 모빌리티 빅데이터 자료를 적절히 분석하면 주거지, 출근지, 출장지 등 다양한 지역의 활동을 파악해 '공유인구' 개념을 도입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공유인구는 사회 인프라 시설을 공유할 수 있는 인접 지역의 인구를 뜻한다


김 연구위원은 “인구 구성 비율이 높은 40∼50대의 이동 거리가 가장 긴데, 향후 공유인구와 생활인구 개념이 활성화되면 이 연령층을 고려한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경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