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가계대출 5조원 증가...기업대출도 역대 세번째 증가 폭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5.13 13:57

주담대 4.5조 늘어, 신용대출 작년 10월 이후 첫 증가
기업 자금수요+은행 기업대출 확대 전략...증가폭 확대

주담대 중심 전 금융권 가계대출 4.1조↑
“가계부채 명목GDP 성장률 이내로 관리”

은행atm

▲4월 중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전월 대비 4조1000억원 증가했다

주택 매매거래 증가로 주택담보대출이 4조5000억원 늘면서 은행권 가계대출이 5조원 넘게 증가했다. 기업대출도 역대 세 번째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주택금융공사 정책모기지론을 포함한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103조6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5조1000억원 늘었다. 은행 가계대출은 1월 3조3000억원 증가, 2월 1조9000억원 증가에서 3월 1조7000억원 감소로 12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한 뒤 4월 다시 4조원 넘게 늘었다. 4월 증가 폭은 지난해 11월 5조4000억원 이후 가장 컸다.


은행 가계대출.

▲은행 가계대출.(자료=한국은행)

가계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865조원으로 전월 대비 4조5000억원 늘었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 잔액은 237조5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6000억원 늘었다. 기타대출이 증가한 것은 작년 10월(1조원) 이후 처음이다. 주택 매매거래 증가, 주택도시기금 정책대출 은행 재원 공급분 확대 등으로 주담대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4월중 주택도시기금의 구입·전세자금 대출이 은행재원을 활용한 이차보전 방식으로도 상당 부분 공급되면서 주담대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그간 디딤돌(구입자금대출)·버팀목(전세자금대출) 대출은 주택도시기금 자체 재원으로 집행돼 가계대출 통계에 반영되지 않았는데, 4월에 은행재원으로 집행되면서 가계대출 통계에 새로 반영됐다.



기타대출은 신용대출 상환규모 축소, 지난달 부실채권 매·상각 효과 소멸 등으로 증가세로 전환했다. 통상 1분기 중에는 상여금 등 여유자금을 활용해 신용대출이 대규모로 상환됐다가, 이후 상환규모가 축소되는 경향이 있다. 4~5월중 연이은 기업공개(IPO) 일정으로 신용대출이 일시적으로 증가한 영향도 있었다.


4월 말 현재 은행 기업대출 잔액은 1284조6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11조9000억원 증가했다. 4월 기준 역대 세 번째로 증가 폭이 컸다. 기업들의 자금 수요가 이어지는 가운데 은행들의 기업대출 확대 전략이 지속되면서 기업대출 증가 폭이 확대됐다. 이 중 대기업 대출과 중소기업 대출은 전월 대비 각각 6조5000억원, 5조4000억원 늘었다. 대기업 대출의 경우 배당금 지급 관련 자금 수요, 분기말 일시상환분 재취급 등으로 운전자금을 중심으로 증가 폭이 커졌다. 중소기업 대출은 은행들의 대출 영업 강화, 4월 25일 부가가치세 납부 수요 등으로 증가세가 지속됐다.




대출

▲대출항목별 가계대출 증감 추이.(자료=금융감독원, 금융위원회)

전 금융권 가계대출도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금융위워회,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가계대출 동향' 자료에 따르면 4월 중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4조1000억원 증가했다. 유형별로 보면 은행권 주담대 증가 폭이 전월 대비 4조5000억원 늘면서 전 금융권 주담대는 4조1000억원 늘었다. 기타대출의 경우 300억원 늘었다. 은행권 대출 증가, 제2금융권 기타대출 감소세 둔화 등으로 전월(5조원 감소) 대비 증가세로 전환됐다.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은 1조원 감소했다. 전월(3조3000억원 감소) 대비 제2금융권 가계대출 감소세가 다소 둔화됐지만, 2022년 하반기부터 감소세가 지속됐다는 게 금융당국의 설명이다. 세부업권별로는 상호금융(2조1000억원 감소)의 감소세가 지속된 반면, 여전사(+6000억원), 저축은행(+5000억원), 보험(+100억원)은 신용대출 위주로 전월대비 증가 전환했다.




금융당국은 “IPO 청약으로 인한 기타대출 증가 등 일시적 요인이 4월 가계대출 증가규모에 일부 영향을 줬지만, 디딤돌(구입자금대출)·버팀목(전세자금대출) 등 정책성 자금과 함께 은행권 자체 주담대 증가도 원인으로 작용했다"며 “관계부처간 협의, 금융권과의 긴밀한 소통 등을 통해 가계대출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금리하락에 대한 기대감 지속, 주택시장 회복 가능성 등으로 인해 향후 가계대출 증가세의 확대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가계부채가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내로 관리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다할 것이다"고 밝혔다.



나유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