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 쇼크에 증시 ‘휘청’… 문어발식 확장에 충격 더 컸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5.20 16:07

상장사만 8곳…리보세라닙 악재에 줄줄이 하락
사명에 ‘HLB’가 족쇄로…2일만에 시총 반토막
“의심하면 공매도 세력”…믿은 투자자 오히려 손실

HLB CI

▲HLB CI

최근 HLB의 간암 신약 '리보세라닙'이 미국 식품의약청(FDA) 허가를 받는 데 실패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증시가 충격에 빠졌다. 소식이 전해진 날에만 HLB 관련주들의 시가총액에서 약 5조 원이 증발하는 상황도 발생했다.




금융투자업계는 악재가 터졌을 때 충격이 HLB의 문어발식 확장 구조에서는 더욱 취약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문어발식 확장…악재 한개가 종목 8곳 무너트려



2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HLB그룹은 2008년 진양곤 회장 취임 이후 활발한 인수합병(M&A)을 통해 상장 계열사를 늘려온 곳이다.


HLB그룹의 계열사에는 HLB외에도 HLB글로벌(옛 넥스트사이언스), HLB제약(옛 메디포럼제약), HLB사이언스(옛 단디바이오사이언스), HLB테라퓨틱스(옛 지트리비앤티), HLB바이오스텝(옛 노터스), HLB이노베이션(옛 피에스엠씨), HLB파나진(옛 파나진) 등 8곳의 상장사가 있다. HLB글로벌은 코스피, HLB사이언스는 코넥스 시장에 상장 중이며 나머지는 모두 코스닥 상장사다.




이 회사들은 모 기업의 사업부에서 출발한 곳들이 아니라 그룹 외부에 있던 회사를 인수해 편입된 것이다. 계열사 간 시너지와 결합력은 약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시가총액은 만만찮은 규모다. 이번 사태 이전 HLB그룹의 시가총액은 16조원 규모였다.




정작 해당 상장사들이 전부 실적 측면에서는 적자를 면치 못하는 상황이었다는 점이다. 지난 2023년 기준 HLB그룹 상장사는 전부 영업이익 적자를 기록 중이다. 적자 규모가 1800억원에 달한다.


하지만 주가는 승승장구를 기록 중이었다. HLB그룹의 시총은 정상적으로는 설명하기 힘든 수준이다. 시총은 16조원대였는데 자산 규모는 3조원대에 불과하고 실적도 적자였기 때문이다,


비결은 테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간암 치료제라는 '리보세라닙'이 있다. 리보세라닙의 미국 허가에 대한 기대감으로 올해 들어 HLB의 주가가는 고공비행 중이었다.


그리고 진 회장은 그동안 회사들을 인수한 뒤 사명부터 바꿔왔다. 사명에 'HLB' 세글자가 들어가는 방식이다.


그 결과 리보세라닙 테마에 대한 기대감은 'HLB'를 사명에 달고 있는 종목들에 골고루 전해졌다.


하지만 이는 부메랑이 됐다. 리보세라닙의 허가에 차질이 생겼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HLB뿐만 아니라 HLB그룹주 전체가 큰 폭의 약세를 기록한 것이다.


결국 허가 차질 소식이 전해진 17일 하루 동안에만 HLB그룹주 시총이 5조원이나 줄었다. 20일 증시에서도 약세가 계속되면서 이제 HLB그룹주 시총은 8조원대로 쪼그라들었다. 2거래일만에 반토막이 난 것이다.


HLB

▲출처=ChatGPT 4.0


◇공매도 비판하며 호재만 약속…회사 믿던 주주들 큰 손실


그동안 HLB 측은 리보세라닙의 허가에 대해 자신만만한 태도로 일관하며 개인 주주들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였다.


지난 3월 '신약 승인이 어려워지면서 불확실성이 생겼다'는 소문이 시장에 돌면서 HLB의 주가가 떨어지자 HLB 측은 “공매도 세력이 가짜뉴스를 퍼트려 시장을 교란하고 있다"며 “시장경제의 근간을 흔드는 비도덕적이고 반사회적 행위"라고 설명한 바 있다.


이런 분위기는 지난 주주총회에서도 확인된다.


지난 3월 29일 열린 HLB의 정기주주총회장에서는 “미 FDA 허가 임박"이라는 내용의 주주연대 측 플래카드도 걸렸다. 회사 측은 사실상 허가를 확신한다며 관련 마케팅 준비에 나서고 있다는 설명도 했다.


진 회장은 “글로벌 제약사 로슈를 이기는 게 목표"라며 “현재 시총은 내 기대에 못미친다"고 말했다.


주총에 앞서 진행된 간암신약에 대한 미국 FDA와의 '파이널리뷰(Late Cycle Review)' 미팅은 “이슈없이 마무리됐다"며 “문제 없이 허가를 받을 수 있다"는 인터뷰를 내기도 했다.


하지만 FDA 승인 여부는 제약업계에서도 함부로 속단하지 않는 영역이다. CEO가 직접 나서 승인을 확신하는 것은 이례적인 모습이었다.


결과적으로 진 회장은 거짓말을 하고 주가 하락의 원인이 된 소문은 진실이 됐다. 진 회장과 HLB 측의 적극적인 해명을 믿은 투자자들은 큰 손실을 입게 됐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나코노박스(코로나19 백신), 아필리아(암 치료제), 인공간(肝) 등 HLB가 그동안 임상을 진행하고 허가를 추진한 약물과 제품 중 제대로 절차를 마무리해 상용화에 돌입한 사례는 전무하다"며 “진 회장은 그동안 책임지는 경영자의 모습보다는 회사 주가가 오르자 지분을 팔아 차익을 챙기는 등 이중적인 모습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강현창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