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열린 시민공청회서…지방상수도와 광역상수도 비교 분석, 참가 시민 찬반 의견 수렴
익산=에너지경제신문 이정진 기자 익산시가 수돗물 공급 체계 전환과 관련해 시민 의견을 묻는 자리를 만들었다.
시는 최근 열린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한 시민공청회' 내용을 바탕으로 수돗물 공급 체계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공청회는 수십 년간 익산시 수돗물을 책임져온 정수장의 노후 현황을 알리고, 공급 체계 일원화 등 대안을 찾는 과정에서 시민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공청회는 김경섭 금강방송 보도제작국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했다. 송방섭 익산시 상수도과장과 박종대 익산시의원, 김대하 전북대교수, 정용 원광대교수, 김형석 한국수자원공사 부장이 익산시 상수도 공급 체계에 대한 각자의 의견을 공유하고, 시민 질문에 답변했다.
수돗물 공급 체계는 한국수자원공사가 국가적 차원에서 물을 관리해 공급하는 '광역상수도'와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관리·공급하는 '지방상수도'로 분류된다. 익산시 일원 광역상수도는 용담호를, 지방상수도는 대아저수지를 각각 수원으로 한다.
익산에 인접한 전주와 군산, 김제, 완주가 전 구간에 광역상수도를 사용하고 있는 것과 달리 익산은 현재 일부 구간에 지방상수도가 들어가는 혼합급수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광역상수도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일부 동 지역 등 34%는 아직 지방상수도를 쓰고 있다.
시는 지금까지 혼합급수 체계를 통해 별 무리 없이 시민들에게 안전하고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해왔다. 하지만 지방상수도 공급 과정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는 금강정수장과 신흥정수장 시설 노후화가 점차 심각해지며 대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 됐다.
금강정수장과 신흥정수장은 내용연수 30년을 훌쩍 넘겨 각각 70년, 49년째 사용 중이다. 축조된 지 70년이 지난 신흥 보조수원지 역시 퇴적물이 쌓여 해마다 조류 발생이 늘고 있고, 이에 따라 정수 약품 처리 비용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시는 지방상수도 공급을 지속하기 위한 전면적인 시설 개보수가 필수인 시점에서 '기존 시설 신설·보수'와 '광역상수도 전환'이라는 크게 두 가지 방안을 두고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선 기존 시설을 보수하는 방안으로는 △기존 시설 보수(1,697억 원) △표준정수처리 재건설(2,428억 원) △표준·고도 정수처리시설 추가 건설(2,796억 원) 등 3개 안이 도출됐다. 다만 이 경우 대규모 사업비를 상수도 요금에 반영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해 급격한 요금 인상으로 시민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
광역상수도 전환 시에는 4인 가정을 기준으로 월 3,300원 가량(톤당 135원)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나, 정확한 요금은 추후 익산시의회가 조례 개정을 통해 결정하게 된다. 시는 현재 추진 중인 유수율 제고 사업 등을 통해 낭비되는 물을 줄이고 전환 시 장기 할인 등을 통해 상수도 요금 인상을 최소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익산시민과 정치권, 학계 등이 참석한 시민공청회에서는 광역상수도 전환 여부에 관해 각기 다른 긍정·부정적 전망이 나왔다. 물 주권 상실이나 가뭄 등 비상 상황 시 대처, 수질 비교, 노후관 교체 공사 선행 필요 등 다양한 찬반 의견을 3시간 동안 주고받았다.
시는 이 같은 내용의 공청회가 마무리된 후 참가 시민 202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광역상수도 전환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82%(166명)로 집계됐다. '정수장 신설·부분 보수로 현안 유지를 원한다'는 답변은 18%(36명)였다.
상하수도사업단장은 “그동안 지방상수도를 안정적으로 공급해 온 정수시설이 수명을 다해가며 광역상수도로의 전환이 시대적 요구로 나타나고 있다"며 “익산시는 어떤 상황에서도 모든 시민에게 깨끗한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앞서 시는 지난 2016년 1번, 2019년 2번에 이어 올해 시민공청회까지 그동안 총 4차례에 걸쳐 광역상수도 전환과 관련해 시민 의견을 수렴하고 공론화하는 절차를 진행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