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파업 사태’ 분수령···“노사문제 넘어야 할 산”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7.22 14:48

노사 임금교섭 23일 재개···대화 하루 앞두고 삼전노는 총파업 궐기대회

파업 동력 떨어지고 여론도 질타···노사 ‘양보’ 여부 관심

22일 오전 경기도 용인시 삼성전자 기흥캠퍼스 세미콘 스포렉스에서 열린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 총파업 승리 궐기대회에서 조합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22일 오전 경기도 용인시 삼성전자 기흥캠퍼스 세미콘 스포렉스에서 열린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 총파업 승리 궐기대회에서 조합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삼성전자 노조가 사상 초유의 '무기한 총파업'을 벌이는 가운데 노사가 올해 임금교섭을 재개한다. 최대 노조인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 파업 동력이 떨어지고 있는데다 집행부 임기도 얼마 남지 않아 양측이 대화를 통해 접점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22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노사는 23일 경기도 기흥 나노파크에서 만나 협상을 벌일 예정이다. 지난 8일 노조의 총파업이 시작된 이후 보름만이다.


재개되는 임금교섭에서는 임금 인상률을 포함해 전삼노가 요구해온 노조 창립휴가 1일 보장, 성과급 제도 개선, 파업에 따른 경제적 손실 보상 등이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사측은 지난달 말 중앙노동위원회 3차 사후 조정회의에서 '평균 임금인상률 5.1%'(기본 인상률 3.0%+성과 인상률 2.1%)를 제안했다. 전삼노는 총파업을 선언하면서 '평균 임금인상률 5.6%'(기본 인상률 3.5%+성과 인상률 2.1%)를 요구했다.


업계에서는 전삼노의 파업동력이 크게 떨어졌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단체행동을 시작할 당시만 해도 수천명이 이를 지지하는 등 분위기가 고조됐지만 집행부가 사측에 무리한 요구를 하며 여론전을 벌인 탓에 파업 참가자가 급감한 상황이다. 집회를 연다면서 강남대로 한복판에서 연예인을 불러 '호화 집회'를 여는 등 상식 밖 행동을 일삼은 것도 파업 인력 이탈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시장에서는 노조가 '성과급'의 개념 자체를 잘못 이해하고 있다는 강도 높은 비판도 나온다. 회사가 이익을 냈을 때 임직원들과 성과를 공유하는 차원에서 마련된 제도를 마치 당연히 받아야 하는 '임금'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삼노는 성과급 지급 기준을 정확하게 못 박으라는 목소리를 강력하게 내고 있다.


전삼노는 당초 파업으로 못 받은 임금을 사측이 보장해달라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이는 노동 없이 임금을 받겠다는 뜻이라 여론의 강력한 질타를 받았다.




전삼노는 재개될 교섭에서 주도권을 가져가기 위해 22일 경기 용인시 삼성 세미콘 스포렉스에서 총파업 궐기대회를 열었다. 이날 집회에는 기흥, 평택, 천안, 온양, 구미, 광주 등 전국사업장 조합원 1200여명이 참여했다.


전삼노는 지난 1월부터 사측과 교섭을 벌여왔다.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의 조정 중지 결정, 조합원 찬반투표 등을 거쳐 쟁의권을 확보하고 지난 5월29일에는 사상 처음 파업을 선언했다. 전삼노는 특히 파업 목적을 '생산 차질'로 규정하고,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핵심 사업장에서 쟁의활동을 벌여왔다.


전삼노가 작년 8월 확보한 대표교섭노조 지위가 다음달 없어진다는 점은 변수다. 만일 협상이 끝나지 않으면 노동조합법에 따라 어느 노조든지 교섭을 요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삼노 포함 5개 노조가 각자 교섭 체제에 돌입하면 파업 동력은 더욱 약해질 전망이다.


전삼노 조합원 수는 이날 기준 3만4800여명이다. 삼성전자 전체 직원(약 12만5000여명)의 27.8% 수준이다.


일각에서는 이 때문에 노사가 일정 수준 양보를 통해 올해 교섭을 마무리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삼성전자 역시 글로벌 '복합위기'가 지속되는 와중에 내부 단합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은 “노사 문제는 이제 삼성이 반드시 넘어야 할 산"이라고 언급했다. 이 위원장은 이날 서울 삼성서초사옥 열린 3기 준감위 정례회의 참석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사를 포함한 삼성의 여러가지 준법경영에 관한 문제들에 대해 검토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여헌우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