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밸류업, 美 방식 따라가긴 어려워…기업·주주간 소통이 우선”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7.23 15:19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 간담회

한국, 美·日 시장 대비 오너십 매우 강해

밸류업 성공, 주주환원 통한 자기자본 감소 노력 필요

김학균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이 23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밸류업 관점에서 본 한미일 증시'를 주제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설명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올해 국내 증시 핵심으로 떠오른 '밸류업' 정책의 성공을 위해서는 장기 보유 주주의 이익 극대화와 주주 소통에 집중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미국과 일본 시장 대비 지배주주(오너)가 강하고, 제조업이 발달한 한국 시장에서는 미국식 밸류업 정책을 따라가기엔 구조적으로 어렵단 평가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23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밸류업 관점에서 본 한미일 증시'를 주제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미국 주식회사들은 주주 자본주의의 과잉이라고 볼 수 있는데, 미국 우량기업들의 자기자본 잠식은 주인이 없는 특성이 과도한 주주환원책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한국의 밸류업은 미국 사례를 벤치마킹하기 보다는 일본 시장의 밸류업 정책에 관심을 갖고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미국 뉴욕 증시에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구성 기업 중 31개 기업이 전액 자본잠식 상태다. 애플은 벌어놓은 잉여금을 통해 자사주를 사들이고 있지만, 맥도날드와 스타벅스도 부채를 통해 자사주를 꾸준히 매입하고 있다. 맥도날드와 스타벅스는 현재 전액 자본 잠식 상태다. 신영증권은 미국의 경우 자기자본을 줄여서 만든 극강의 자본효율성이라고 판단했다.



이 같은 주주환원책이 가능한 이유는 미국은 한국처럼 지배주주가 존재하지 않는 국가이기 때문이다. 미국 주요기업의 대주주들에는 패시브 투자자들이 다수 포진 돼 있다. 주주권 행사에 관심 없는 패시브 투자자들의 증가로, 경영진의 단기주의가 횡행하고 있단 분석이다.


김 센터장은 “미국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애플은 한국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삼성전자의 몇배의 이익을 내고 있는데, 대부분의 이익을 주주들에게 돌려주면서도 자기자본이익률(ROE)이 171.9%에 달한다"며 “미국 시장에서 당기순이익보다 더 많은 주주환원을 하는 것도 6~7년 밖에 되지 않았고, 자본력이 떨어지니 보잉사가 위기가 찾아오기도 한다. 한국 시장에서 미국과 같은 밸류업은 할 수도 없고, 배워야할 일도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일본 증시의 밸류업 정책 성공 사례는 한국 시장에서 주목해볼만 하다고 평가했다. 일본의 경우 중앙은행의 양적완화와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에 민간의 구조조정을 통한 성장전략이 주효했단 평가다. 일본은 아베노믹스 이후 밸류업 정책을 펼쳐왔고, 일본 증시가 1980년대 버블경제 당시의 고점을 넘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기도 했다.


김 센터장은 “관제자본주의와 주주행동주의가 결합했다"며 “주가순자산비율(PBR)이 1배를 하회하는 상장사는 주가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공시하고 실행하는 등 정책적 자극을 지속했다"고 말했다.




김 센터장은 한국 증시의 장기적 밸류업 성공을 위해서는 당장 주주환원율을 높이는 것보다는 제조업이 강한 특성을 살려 '생산설비'에 재투자하는 것이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그는 “전세계에서 PBR이 낮은 국가가 한국과 중국, 일본, 독일 순인데 이는 모두 제조업이 강한 국가고 한국 시장 발전을 위해선 제조업 기업들이 생산설비에 재투자해야한다"며 “삼성전자도 벌어들인 돈의 3분의 1을 주주환원에 쓰고 있지만, 삼성전자도 제조업 특성에 따라 주주들에게 이익을 바로 환원하기 보다는 재투자해 기업가치를 올리는 것이 장기 주주가치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 증시의 중장기적 밸류업 성공을 위해서는 기업과 주주간의 원활한 소통이 우선돼야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두산그룹의 지배구조 개편 등 이종기업 간의 합병도 기업과 주주간의 소통 부족 문제라는 지적이다. 일본에서는 주주들과 소통하는 최고주주활동책임자(CSEO)라는 직책을 신설하기도 했다.


김 센터장은 “국내 증시에서 최근 나타나는 이종기업 간의 합병은 오너 입장에서는 좋지만 심각한 문제인데, 궁극적으로 주주와의 소통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 시장의 밸류업 목적은 장기 보유 주주의 이익 극대화에 초점을 맞춰야 성공할 수 있다"며 “주주권 강화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지만, 현재의 결핍을 봤을 때는 부작용보다는 주주권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하늘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