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달러의 종말?…“4가지 요인에 달러 패권 흔들린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8.27 11:49
USA-MARKETS/FLOWS

▲미 달러화(사진=로이터/연합)

미국 중앙은행의 고강도 긴축정책이 막을 내리면서 달러 가치가 추락하고 있는 가운데 세계 금융시장을 지배하는 달러 패권이 4가지 요인에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27일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세계 각국의 외환보유고에서 달러 비중은 1999년 71%에서 올해초 59%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2020년엔 달러 자산 비중이 25년 만에 처음으로 60%선을 밑돌았는데 지난 4분기에는 58%까지 추락하기도 했었다.


같은 기간 유로화나 일본 엔화, 영국 파운드화 등 기타 기축통화들의 비중도 정체되거나 오히려 소폭 하락했다.



반면 호주 달러화, 캐나다 달러화, 스위스 프랑화, 중국 위안화, 한국 원화 등으로 구성된 '비전통 통화'의 비중은 2021년 2분기 사상 처음으로 10%에 올랐고 지난 1분기엔 11%를 기록했다.


여기에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다음달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전망이 확실시 되자 달러의 가치가 추락하고 있다.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이날 한국시간 오전 10시 52분 기준,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 선물은 100.727로 연중 최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공격적으로 올렸던 2022년에는 달러인덱스가 115에 근접해 '킹달러'로 불리기도 했다.


이처럼 약(弱)달러 추세가 이어지는 와중에 세계 각국의 외환 보유고에서 달러 비중 또한 감소세를 보이자 금융 시장에서 달러의 지위가 위협받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투자자들 사이에서 불거지고 있다고 26일(현지시간) 마켓인사이더는 전했다.




이와 관련해 미 싱크탱크 브루킹스 연구소는 “많은 경제학자들은 달러화가 단기간 이내 지배력을 잃지 않을 것으로 보고있다"고 전하면서도 달러 패권을 흔드는 주요 요인들을 주목해야 한다고 짚었다.


첫번째 요인으로는 미국의 경제제재로 지목됐다. 2022년 러시아가 우크라니아를 침공하자 미국은 러시아 외환보유액을 동결시켰는데 이같은 '달러 무기화'가 달러 지위의 훼손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실제 브릭스(BRICS·중국·브라질·러시아·인도·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신흥경제 5개국)는 탈(脫)달러 움직임을 주도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제넷 옐런 미 재무장관은 지난해 CNN에 “달러와 연결된 금융제재를 사용할 경우 달러 패권이 시간에 걸쳐 훼손될 리스크가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브루킹스 연구소는 미국 정부가 최근 지출을 늘리면서 미 부채가 급증하고 있는 점도 달러의 지위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미국 정부부채의 높은 장가율, 재정악화 등을 반영해 지난해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강등했다. 연구진은 “추가적인 정치적 불안은 달러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전했다.


결제시스템 관련 기술력이 향상되면 달러 수요가 약화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에스와르 프라사드 선임 연구원은 달러를 거치지 않고 중국 위완화와 인도 루피화가 서로 거래될 가능성을 예시로 제시했다.


또 브루킹스 연구소는 연준의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 발행이 늦을 경우 미국이 디지털 화폐 경쟁에 뒤처져 달러 패권이 유지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전했다.


다만 대부분의 통화 전문가들은 탈달러 움직임이 달러 패권에 단기적 위협이 아니라고 보고 있다고 마켓인사이더는 전했다.


오히려 탈달러로 경제적 역풍이 따를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CPM그롭의 제프리 크리스천 창립자는 러시아, 중국, 인도와 같은 나라들의 탈달러 추진은 자국 경제에 타격을 입혀 역효과를 낼 수 있다고 마켓인사이더에 말했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