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플랫폼업계 중심으로 AI 비서 고도화 속도
글로벌 빅테크 협력·자체 모델 적용 서비스 확대
한국어 특화 서비스 개발 초점…정확도 향상 관건
효과적 BM 구축도 중요…서비스 완성도·차별화해야
국내 정보기술(IT) 업계가 개인 비서(PAA) 서비스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자체 인공지능(AI) 모델 구축을 완료한 후 본격적인 수익화에 나서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서비스 안착을 위한 정확도 향상과 효과적인 수익모델(BM) 구축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14일 IT업계에 따르면 주요 기업들은 '한국어를 가장 잘 이해하는 AI'를 콘셉트로 잡고 특화 모델을 개발 중이다. 글로벌 빅테크가 대화형 AI 모델을 개발하긴 했지만, 한국어 명령 이해가 느리다는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보인다.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각사별 전략은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업 강화와 자체 AI 모델을 활용한 서비스 범위 확대로 압축된다.
SK텔레콤은 미국 AI 스타트업 퍼플렉시티의 AI 엔진을 탑재해 자사 PAA 에이닷(A.)의 개인화 정보 탐색 기능을 강화한다. 기존 키워드 검색에서 사람과 소통하는 방식의 대화형 검색으로 차별화한다는 것. 양사는 내년부터 에이닷의 해외 시장 진출을 추진할 계획이다.
KT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손잡고 5년 동안 약 2조4000억원을 투자해 AI·클라우드 분야에 집중투자한다. 내년 △GPT-포오(4o) 기반 한국어 특화 AI 서비스 △소형 언어모델 'Phi 3.5' 기반 공공·금융 산업 특화 AI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데이터·법·규제·문화·언어 등 국내 상황에 맞게 최적화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메타와 협력해 자체 AI 기술 '익시'와 생성형 AI '익시젠' 활용 사업을 확장 중이다. 익시 공식 인스타그램 메신저에 익시 챗봇을 도입하고, 세로형 릴스 제작도 추진한다. 아울러 이달 중 익시 기반 PAA '익시오'도 선보인다. 통화 녹음·요약, 할 일 제안, 전화 대신 받기, 보이는 전화, 실시간 보이스 피싱 탐지 등 기능을 제공할 방침이다.
네이버는 국가별 자체 AI 기술인 '소버린 AI' 확산을 전면에 내세우고 하이퍼클로바X 적용 서비스 범위를 확장 중이다. 검색어와 문서 이해, 사용자 의도 파악, 답변 요약·정리 등 기존 검색 엔진의 품질을 높이는 게 골자다. 연내 생성형 AI 기반 대화형 검색 서비스 '큐(CUE):'의 모바일 버전을 출시할 계획이다.
카카오는 자체 AI 모델 개발보단 연계 서비스를 통한 수익화에 초점을 맞춘 모양새다. 이달 22일 개발자 콘퍼런스 '이프카카오(ifKAKAO)'에서 새 AI 서비스 '카나나'를 공개한다.
해당 서비스는 이상호 카나나엑스 성과리더가 'AI 메이트와의 새로운 연결'이란 주제로 소개할 예정인데, 'Mate(친구)'·'연결'이란 키워드와 실적발표 콘퍼런스콜 등을 통해 언급된 내용을 종합하면 대화형 플랫폼 기반 기업소비자간거래(B2C) 서비스일 것으로 예상된다. AI 챗봇을 통해 친구처럼 대화를 나누거나, 사용자 맞춤 상품을 추천하는 방식이 될 전망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관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에 따르면 대화형 AI 시장은 오는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24.9%를 기록하며 올해 132억달러(한화 약 18조원)에서 2030년 499억달러(약 67조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관건은 검색 결과의 정확도 향상과 할루시네이션(환각)으로 대표되는 오류를 최소화하는 게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상용화된 AI 비서의 경우 구체적이고 명확한 지시에는 정확히 반응하지만, 모호한 지시에 대한 이해는 다소 느린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아울러 구체적인 수익화 로드맵과 효과적인 수익모델(BM) 구축도 중요해질 전망이다. 국내 시장 저변이 확대되지 않은 상황에서 유료화에 나설 경우, 역으로 이용자가 줄어들 수 있어서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AI 챗봇 사용 실태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내 AI 챗봇 이용률은 13.4%, 유료 상품 이용률은 5.7%로 집계됐다. 업무 영역에서 AI 이용률이 높아지고 있음을 감안하면 일정 수준 이용자를 확보한 후 점진적으로 유료화를 진행할 것으로 관측된다.
IT업계 한 관계자는 “아직 국내 AI 시장은 개척 단계인 만큼 유료화를 곧장 추진하기엔 섣부르다는 게 업계 중론"이라며 “성공적인 BM 구축을 위해서 기술 완성도를 높인 후, 서비스를 차별화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