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Q 철강 설비 가동률 90.3%…2~4고로 등 통해 만회 가능
최근 사고 잇따라…설비 포함한 포항사업장 점검 이뤄져야
경북 포항시에 자리잡은 포스코 포항제철소가 다수의 사고에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최근 발생한 화재에 관련해서는 생산 차질은 없다는 입장이지만, 설비 정상화에 드는 비용과 주민 불안 등 경제적·비경제적 손실을 막기 위해서는 종합적인 안전 강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0일 새벽 4시20분쯤 화재가 발생한 포항제철소 파이넥스 3공장은 연산 200만t에 달하는 쇳물을 생산할 수 있다.
파이넥스는 원료 예비처리 공정을 생략하고 철광석·유연탄을 바로 사용해 고로(용광로)처럼 쇳물을 뽑는 용융로(비용광로) 공법으로, 고로 보다 원가 부담을 낮출 수 있다.
포스코는 파이넥스 3공장이 일주일 가량 멈춘다고 해도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포항 파이넥스 3공장이 포스코의 국내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가 되지 않는다.
포항제철소 보다 큰 광양제철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포항사업장 파이넥스 2공장과 2~4고로의 총 생산력도 1381만t에 달하기 때문이다.
글로벌 철강 시황이 부진한 것도 이같은 목소리에 힘을 싣고 있다. 포스코는 올 3분기 조강생산량이 923만4000t로 집계됐다고 설명했다. 가동률은 90.3%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하락했다. 제품 판매량도 824만8000t로 1.5% 축소됐다.
4분기 판매량이 4% 가량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으나, 중국 경기부양책의 효과가 예상을 밑돌 것이라는 반론이 맞서고 있다. 현지 항만의 철광석 재고가 지난해 최고치를 상회하는 탓이다.
업황 부진으로 재고가 충분한 상황에서 2분기 고로 개수 등으로 생산량이 줄었던 것도 언급된다. 물건이 없어서 못 파는 일이 벌어질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다.
고로 보다 원가 부담이 적은 파이넥스 공장이 멈춘 탓에 수익성 악화 우려가 있지만, 고정비 감소 효과에 힘입어 가공비가 줄어들고 탄소강 매출원가도 낮아진 덕분에 영향이 크지 않을 전망이다.
원재료값 부담이 완화된 것도 언급된다. 한국자원정보서비스에 따르면 1월5일 t당 142.6달러였던 철광석값은 8일 104.9달러로 26.4% 하락했다. 유연탄값은 같은 기간 92.9달러에서 93.3달러로 1.2% 상승에 그쳤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화재 때문에 전체 고로 가동이 일시 중단되고 올 초에도 통신선 및 석탄 운반시설에 불이 나는 등 지속적으로 사고가 발생하는 점은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 중론이다.
'산업의 쌀'로 불리는 철강산업에서 생기는 문제는 자동차·조선을 비롯한 수요산업에 끼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원치 않는 비용 발생은 수소환원제철 기술개발에 필요한 '실탄' 모으기에도 도움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2022년 태풍 '힌남로'로 생산이 멈추면서 조단위 손실을 입고 안전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으나, 설비 노후화와 인력 부족 등에 따른 리스크를 해소하지 못하면서 크고 작은 사고가 이어지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특정 설비에서 반복적으로 사고가 벌어진다는 점에서 안전 교육 강화 필요성도 제기된다.
그룹 내부 출신의 '철강맨'으로 불리던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철강부문 경쟁력 회복을 위해 매년 1조원 상당의 원가 절감을 주문한 것도 도마에 오르고 있다. 임원들의 임금을 삭감하고 원재료 구입을 효율화하는 작업이 이뤄지고 있으나, 다른 부분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냐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포스코가 로봇·드론·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기술로 안전을 강화하려는 행보를 보여왔지만, 잇따른 사고로 인근 주민들의 불안감이 고조되는 등 '국민으로부터 신뢰와 사랑을 받던 포스코의 모습을 되찾겠다'던 취임사가 빛을 잃은 형국"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