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자산 10억원 이상’ 부자 46만1천명...금융자산 2826조원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12.22 11:25

한국 부자 1년새 5천명 증가 그쳐
통계집계 후 부자 수 증가율 최저

“내년 자산운용, 현재 수준 유지”
자산관리 관심분야 1위는 부동산

금, 보석 등 실물투자 관심도 상승
“부자 투자처 대체자산으로 다각화”

부자.

▲2024년 한국 부자는 46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45만6000명) 대비 1.0%(5000명) 성장하는데 그치며 부자 수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부자가 올해 46만1000명으로 1년새 5000명 늘었다. 전체 인구에서 한국 부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0.9% 수준이다. 한국 부자가 보유한 총금융자산은 2826조원으로 전년 대비 2.9% 늘었고, 전체 가계 총금융자산의 58.6%를 차지했다.




22일 KB금융그룹이 발간한 '한국 부자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한국 부자는 46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45만6000명) 대비 1.0%(5000명) 성장하는데 그치며 부자 수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전체 인구에서 한국 부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0.89%에서 2024년 0.90%로 0.01%포인트(p) 오르는데 그쳤다.


올해 한국 부자가 보유한 총금융자산은 2826조원으로 2023년(2747조원) 대비 2.9% 늘었다.



이들이 보유한 총금융자산은 2826조원으로 전년 대비 2.9% 증가했다. 이 중 총부동산자산은 2802조원으로 전년 대비 10.2% 늘었다.


KB금융그룹

▲(자료=KB금융그룹이 발간한 '한국 부자 보고서'.)

총부동산자산 가운데 개인명의 부동산자산은 57.8%(1620조원), 법인명의 부동산자산은 42.2%(1183조원)였다. 개인명의 부동산자산은 전년 대비 0.8% 증가한 반면 법인명의 부동산자산은 26.4% 증가했다. 이는 개인명의 부동산자산의 경우 주택 및 부동산가격이 2022년 하반기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약세를 보이면서 올해 들어 횡보세를 나타냈기 때문이다. 반면 법인명의 부동산자산은 부동산 가격 하락 국면에서 자금 동원력이 큰 법인들이 공격적으로 저점 매수를 통해 부동산 자산을 늘리면서 1년새 규모가 큰 폭으로 늘었다.




올해 한국 부자의 총자산은 부동산자산과 금융자산이 각각 55.4%, 38.9%로 구성됐다. 그 외 회원권과 예술품 등 기타자산이 일부를 차지했다. 부자의 금융자산 비중은 전체 가계(부동산자산 78.6%, 금융자산 16.8%) 대비 2.3배 높았다.


다만 기준금리 상승으로 개인이 소유한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서 부자의 총자산 가운데 부동산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56.2%에서 2024년 55.4%로 0.8%포인트 감소했다.




KB금융그룹

▲(자료=KB금융그룹이 발간한 '한국 부자 보고서'.)

한국 부자들은 내년 금융자산 운용 계획에 대해 금융자산 전반에 걸쳐 현재의 '투자 수준'을 유지하겠다고 답했다. 다만 국제 정세와 경제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이 변하면서 주식과 예적금에 대해 현재보다 '투자 금액을 늘리겠다'는 의견과 '투자 금액을 줄이겠다'는 의견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한국 부자는 단기적으로 주식(35.5%)과 금·보석(33.5%)에서, 중장기적으로 거주용 주택(35.8%)과 주식(35.5%)에서 고수익을 기대한다고 응답했다. 자산관리 관심분야 1위는 국내 부동산 투자(40.0%)였고, 실물(금·보석)투자(34%), 국내 금융 투자(30.3%), 국내외 경제동향 정보 수집(27.3%) 순이었다. 이 중 실물(금, 보석) 투자의 경우 2022년 7위, 2023년 4위에서 올해 2위로 순위가 급등하면서 금값 상승세에 따른 한국 부자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황원경 KB금융 경영연구소 부장은 “한국 사회의 인구 감소가 부자 수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이며, 부자들의 금융 투자처가 대체자산의 영역까지 다각화됐고, 기술과 인간의 개입이 결합된 전문적 자산관리 서비스에 대한 높은 기대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한국 부자가 부를 축적해 온 길을 다양하게 조망한 이번 보고서가 온 국민의 효과적인 자산관리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과 금융 상품·서비스 모델 개발 등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나유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