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4분의 1’ 태운 美 산불…원인은 기후위기 때문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1.13 14:32

LA 지역, 올겨울 강수량 적어 초목이 산불 떌감 역할

지구가열화로 대기중 수분 증발 토양·식물 건조해져

한국도 10년간 산불 발생건수 이전 대비 30% 증가

California Wildfires

▲11일 소방대원들이 로스앤젤레스 맨더빌 캐니언에서 발생한 팰리세이즈 산불을 감시하고 있다. 연합외신

미국 로스앤젤레스(LA)를 삼켜버리고 있는 대규모 산불의 발생원인은 기후위기 때문으로 지목되고 있다. 올겨울 강수량이 극히 적어 바싹 말라버린 산림이 땔감 역할을 했고, 여기에 강풍까지 불면서 걷잡을 수 없게 된 것이다.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13일 기준 캘리포니아주와 LA 카운티 당국은 현재 진행 중인 산불이 총 5건으로 집계했다. 규모가 가장 큰 '팰리세이즈 산불'은 87㎢를 태웠고, '이튼 산불'과 '허스트 산불'은 각각 57㎢와 3.2㎢의 피해를 기록했다. 추가로 발생한 '케네스 산불'도 4㎢를 태우며 여전히 확산 중이다.


피해를 종합하면 지금까지 서울시 면적의 약 4분의 1에 해당하는 151㎢ 면적이 화재로 소실됐으며, 확인된 사망자는 13명에 달하고, 천문학적인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다.



미국 연방정부는 이번 산불의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는 조사에 착수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산불이 기후위기로 인한 건조한 기후, 가뭄, 강풍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최근 발표에서 산업화 이전보다 지구 평균기온이 1.55℃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대기의 수분 증발을 증가시키고, 토양과 식물을 건조하게 만들어 산불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실제로 LA 지역은 올겨울 강수량이 극히 적어 건조한 초목이 산불의 땔감 역할을 했다. 여기에 '샌타애나'로 불리는 강풍이 더해지며 산불은 급속도로 확산됐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따뜻한 봄과 길어진 여름 건조기가 산불 발생 기간을 늘리고, 대형 산불이 발생하는 시점을 앞당겼다고 분석했다.


다니엘 스웨인 UCLA 기후학자는 “초목이 땔감 역할을 했다"고 지적했다. 니나 S. 오클리 사막연구소 연구조교수는 “남부 캘리포니아의 건조한 날씨와 많은 인구가 산불 위험을 높이고 있다"며, 인간 활동 역시 중요한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산불로 인한 연기는 대기질 악화로 이어져 공중보건 문제도 우려된다. 피해 지역의 대기질 지수는 이미 '위험 수준'으로 치솟았고, 초미세먼지와 유독성 화합물이 포함된 연기가 확산되고 있다.


미국 서부에서 발생하는 산불은 기후변화로 인해 더욱 빈번해지고 규모도 커지고 있다. 캘리포니아주의 산불 피해 면적은 1970년 이후 2021년까지 172% 증가했으며, 최근 20년 사이 가장 큰 산불 10건 중 절반이 2020년 이후에 발생했다. 기후위기 심화와 인간 활동으로 산불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 만들어진 결과다.


한국에서도 산불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한국에서 발생한 산불은 연평균 약 500건으로, 이전 10년에 비해 30% 이상 증가했다. 겨울철 이상 고온과 건조한 날씨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며, 강원도와 경북 지역은 강풍까지 더해져 피해가 확대되는 경우가 많다.


이우균 고려대 기후환경학과 교수는 “산불이 발생하면 산림이 1년 동안 흡수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의 10배에 달하는 온실가스가 단기간에 배출된다"며 “이로 인해 온실가스 흡수 능력은 감소하고, 배출량은 증가해 악순환이 이어질 위험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기후위기가 더욱 심화되고, 대형 산불로 인한 환경적·경제적 피해 또한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윤수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