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된 건설업계 실적 부진…대우건설·금호건설도 실적 악화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2.08 17:17

대우건설, 전년 대비 매출·영업익 모두 악화…매출 목표치는 넘겨
금호건설, 영업손실 1818억원으로 충격 안겨…올해 V자 회복 목표

대우건설

▲서울 을지로에 위치한 대우건설 본사 전경.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건설업계가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겪은 가운데, 대우건설과 금호건설 등 최근 실적을 발표한 대형 건설사들도 지난 2023년 대비 아쉬운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다만 대우건설은 당초 매출 목표를 상회한 실적을 냈고, 금호건설은 4분기 반등에 성공해 올해 '침체의 늪'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대우건설은 지난해 연매출 10조5036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11조6478억원) 대비 매출이 9.8% 감소했으나, 당초 매출 목표(10조4000억원)보다는 101% 초과 달성한 것이다.


다만, 영업이익은 지난 2023년 6625억원에서 지난해 4031억원으로 39.2% 줄었다. 당기순이익도 5215억원에서 2428억원으로 절반 넘게 감소했다.



부문별 실적을 보면, 대우건설은 지난해 △주택건축사업부문 6조 8418억원 △토목사업부문 2조 1704억원 △플랜트사업부문 1조 1386억원 △기타 연결종속부문 3528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대우건설은 진행 현장 수 감소와 지속적인 원가율 상승, 일부 주택 현장의 추가 원가 반영 등으로 인해 매출 및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고수익 프로젝트인 해외 플랜트사업부문 매출 효과를 봤다고 덧붙였다.




올해 대우건설은 매출 확대를 위해 체코 원전, 이라크 해군 및 공군기지, 투르크메니스탄 미네랄비료공장 등 해외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 확대를 노리고 있다. 또한, 부산 동구 범일동에서 '푸르지오 써밋' 브랜드가 적용된 초고층 주거단지 '블랑 써밋 74' 오피스텔을 분양하고,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1단지 맞은편 은화삼지구 A2·3블록 등 아파트 매물도 분양할 계획이다.


금호건설

▲고양 장항 아테라 투시도. 사진=금호건설

금호건설도 연매출 1조914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2조2200억원) 대비 매출이 약 13.7%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2023년 1000억원에서 지난해 -1818억원으로 적자 전환해 충격을 안겼다.




금호건설은 지난해 1분기 순손실 전환한 뒤 2~3분기 내내 적자를 냈다. 특히, 3분기는 매출이 전년 동기(5191억원) 대비 25.4% 감소한 3871억원으로 적자 폭이 커졌다. 영업이익도 같은 기간 58억5425만원에서 영업손실 1574억원으로 돌아섰다. 단, 금호건설은 대규모 터널 공사 발주로 인한 터널 장비 수요 급증과 원자재 가격 상승 변수로 인한 공사비 상승을 선제적으로 비용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4분기에는 매출이 5215억원으로 반등하며 영업이익 55억원을 달성했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8%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7.8% 증가해, 당기순이익도 지난해 13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금호건설은 실적 개선 요인으로 지난해 5월 론칭한 '아테라(ARTERA)' 브랜드의 인지도 상승과 주택개발사업 수익 본격화, 수익성 높은 사업장 매출 비중 확대 등을 꼽았다. '청주테크노폴리스 아테라'와 경기 '고양 장항 아테라' 등 주요 단지가 완판된 덕택도 봤다.


금호건설은 “최근 문제가 되는 미착공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이나 브릿지론, PF 보증 현실화와 같은 추가 리스크가 없어 올해에는 확실한 'V자형 회복'을 기대해도 좋다"는 입장이다.


올해 금호건설은 주요 사업장으로 부산 에코델타(24블록)와 청주테크노폴리스(A7블록) 등의 분양을 예정하고 있다.


한편, 올해 건설 시장은 원자재 가격 인상 및 공사비 급증, 매수심리 동결 등으로 인해 사업에 많은 난항이 예상되나 일각에서는 하반기부터 점진적인 회복이 시작될 것으로 점치고 있다.



김유승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