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민·쿠팡이츠 ‘상생요금제’ 시행 앞두고 ‘차등적용’ 의견 분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2.24 20:13

배민, 26일부터 수수료 상생요금제 시행…쿠팡이츠는 4월부터

매출규모 따라 수수료 차등 적용…“합의취지 따라 충실 이행”

업주들 “영세업체에 도움” 기대 vs “매출 산정기준 모호” 반발

배민

▲배민 라이더 오토바이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우여곡절 끝에 도출된 배달 앱 중개수수료 상생안이 시행을 눈앞에 두고 있지만 입점업체 반발이 지속되고 있어 어렵게 도출된 상생안의 안정적인 정착 여부가 주목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배달 앱 배달의민족(배민)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은 오는 26일부터 향후 3년간 중개수수료를 기존 9.8%에서 2.0~7.8%로 인하하는 상생요금제를 시행한다.


이는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 주도로 '배달 플랫폼-입점업체 상생협의체'에서 타결된 상생안에 따른 것으로, 배민은 '배민1플러스' 요금제 이용 업주를 대상으로 배민 내 매출 규모에 따라 4개 구간으로 나눠 중개수수료와 업주부담 배달비를 차등 적용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중개수수료는 △매출 상위 35% 이내 입점업체는 7.8% △35~80%는 6.8% △80∼100%는 2.0%를 내게 된다.


업주부담 배달비는 △매출 상위 35% 이내는 2400∼3400원 △35∼50%는 2100∼3100원 △50% 초과 업체는 1900∼2900원을 부담하게 된다.




따라서 배민 내 매출 규모가 하위 50% 이하인 입점업체는 배달비 변동 없이 중개수수료만 최대 7.8%포인트 인하되는 효과가 있어 업주의 비용부담 경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민과 함께 상생협의체에 참여했던 쿠팡이츠 역시 오는 4월부터 향후 3년간 중개수수료를 기존 9.8%에서 2.0~7.8%로 인하한다.




매출 규모를 산정하는 방식 등 세부 운영은 배민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매출 규모에 따라 총 4개 구간으로 나누는 점과 구간별 수수료·배달비 요율 등은 배민과 동일하다.


쿠팡이츠에 따르면 상생요금제를 시행하면 업계 평균 주문 금액인 2만5000원 주문시 하위 3개 구간의 업체는 최대 1950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업계에서는 양대 배달 앱의 상생요금제 시행이 본격화되면 매출규모가 작은 영세업체를 중심으로 배달앱 수수료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반면 일부 업계는 상생안이 생색내기에 불과한 합의안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일부 배달 앱이 상생협의체 출범 직전에 수수료율을 인상해 놓고 상생안에서 수수료를 내린 것은 사실상 인하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또한 점포 전체 매출과 관계없이 배달 플랫폼을 적극 이용하는 업체일수록 높은 수수료율을 부담하게 된다는 점과 점포의 매출규모 산정 기준이 모호하다는 점도 불만사항 중 하나다.


이때문에 입점업체를 포함한 업계의 의견은 분분한 상황이다. 특히 상대적으로 매출이 높은 대형 프랜차이즈 가맹점주들의 경우 배달 매출 상위 35% 선정 기준에 대해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일부 업계는 배민과 쿠팡이츠가 어렵게 도출된 상생안에 따라 마련된 요금제를 이제 막 시행하는 단계인 만큼 시행 과정에서 업주들의 의견을 청취해 상생안의 취지에 맞도록 운영 방식을 개선해 나갈 것을 기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쿠팡이츠는 지난 19일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와 함께 배달앱 사회적 대화기구를 출범, 입점업체 등 소상공인과의 상생 대화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이어 20일 민주당 을지로위원회는 서울 송파구 우아한형제들 본사를 방문, 배민도 사회적 대화기구에 참여할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배민은 사회적 합의를 통해 도출한 상생안이 이제 막 시행되는 만큼 향후 업주들의 의견을 경청해 개선점을 찾아 간다는 방침이다.


쿠팡이츠 관계자 역시 “상생협의체 취지와 협의를 바탕으로 영세 소상공인을 지원하고 신규 사업자를 비롯한 입점 업주의 부담을 덜 수 있는 상생요금제를 충실히 이행할 계획"이라며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철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