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적자 ‘유력’…2월 손해율 88.7%·손익분기점 상회
블랙박스 설치 등 할인·안전장치 추가 위한 제도개선 촉구

▲강원도 정선에서 25t급 화물차와 시외버스가 충돌한 모습.
지난 몇 년간 보험사들의 수입원 중 하나였던 자동차보험이 다시 '아픈손가락'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우려가 팽배하다.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총 7조원의 적자를 냈던 과거로 돌아가는 것 아니냐는 공포심도 포착된다. 들어오는 돈이 줄어들고 나가는 돈은 늘어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26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다수의 손해보험사들이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업계 전체적으로도 흑자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평균 손해율이 83%에 달했던 탓이다. 이는 전년 대비 3%포인트(p) 이상 악화된 수치다.
2023년 5539억원 규모였던 자동차보험 손익이 이처럼 악화된 원인으로는 금융당국의 상생 압박으로 인하된 보험료가 꼽힌다. 이로 인해 메리츠화재가 적자전환하는 등 상반기 손익이 전년 대비 대폭 떨어졌고, 연말 폭설에 따른 자동차 사고도 급증했다.
손해율은 보험사가 지급한 보험금을 받은 보험료로 나눈 값으로, 자동차보험의 경우 통상 80%대 초반을 손익분기점(BEP)으로 본다. 운영비 등을 제외하고 이익이 발생하는 한계점이라는 의미다.
업계는 올해 적자를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지난 1월 손해율은 81.8%였으나, 2월에는 폭설로 인한 사고 등으로 88.7%까지 높아졌기 때문이다. 대물배상 수리비의 5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자동차정비 공임비도 올해 2.7% 올랐다.
다음달부터 수입 축소도 본격화된다. 앞서 현대해상·KB손해보험·삼성화재·DB손해보험·메리츠화재 등은 또다시 보험료 인하를 발표한 바 있다.
14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서울 시청역을 비롯해 '급발진' 사고가 많아진 것도 손해율에 영향을 주고 있다. 다수의 차량과 인원이 피해를 입으면 보험금 지급도 불어난다는 것이다. 제조사를 상대로 소송하는 경우가 있으나, 자동차업계와 관련 학계에서는 대부분 운전자들의 페달 조작 미스로 보고 있다. 순간 가속력이 좋은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고 노령층 운전자가 많아지는 것이 맞물려 추가적인 연쇄 추돌 사고가 벌어지는 것 아니냐는 걱정도 나온다.

▲지난해 다수의 손해보험사들이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업계 전체적으로도 흑자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보험사들이 사고 감소에 주안점을 두는 것도 이같은 맥락과 무관치 않다. 삼성화재·현대해상·KB손해보험·한화손해보험이 안전운전 점수가 높을수록 보험료를 낮추는 등 관련 특약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주행거리 △자녀 보유 △블랙박스 장착도 보험료 할인의 조건이 된다.
주행거리가 짧으면 사고 위험도 낮아지고 어린 자녀를 동반하면 더욱 조심할 확률이 높다는 이유다. 보험료가 더욱 줄어도 보험금 지급이 축소되면 고객 건강과 보험사 건전성을 지키는 데 도움 된다는 계산이다.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제도개선도 촉구하고 있다. 후진사고 방지 첨단안전장치(R-AEB) 장착시 후진 차량에 의한 사고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는 삼성화재 자동차보험에 가입한 국산 차량들의 데이터를 토대로 미장착 차량이 1만대당 약 81건의 차대차 사고가 났으나, 장착 차량은 70건 수준이었다고 분석했다. 차대보행자 사고는 각각 4.8건과 2.6건으로 45%에 달하는 사고 감소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R-AEB를 설치한 국산 화물·승합차가 없었고, 승용차도 장착 비중이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전방사고 방지 첨단안전장치(AEB)와 달리 장착이 의무화되지 않은 까닭이다. 아예 해당 기능을 구현할 수 없는 모델을 보유한 브랜드도 있었다.
업계 관계자는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 호우·폭설 등의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싱크홀을 비롯해 운전자가 대응하기 힘든 사고가 발생하는 것도 악재"이라며 “자율주행 기술 발달로 사고가 줄어들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