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 빨라진다니…맥주 전쟁도 ‘조기 점화’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4.03 16:30

‘제품 투트랙 전략’ 마케팅도 브랜드별 역량 분산

성수기 앞두고 맥주 3사 ‘패키지 리뉴얼’ 전초전

야구장·축제·영화관 등 오프라인 접점 확대 경쟁

4월부터 새 패키지를 입혀 판매 중인 오비맥주의 '카스 프레시' 병, 캔. 사진=오비맥주

▲4월부터 새 패키지를 입혀 판매 중인 오비맥주의 '카스 프레시' 병, 캔. 사진=오비맥주

맥주 최대 성수기인 여름을 앞두고 국내 주류업계가 일제히 '제품 투 트랙' 전략을 바탕으로 마케팅 강화에 한창이다.




올해 예년보다 빠른 무더위가 예상되면서 점유율 확보를 위한 패키지 새 단장과 함께, 오프라인 행사 전개로 소비 접점 넓히기에 주력하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주류 제조사별로 오비맥주(카스+한맥), 하이트진로(테라+켈리), 롯데칠성음료(클라우드+크러쉬) 각각 판매를 병행하며 마케팅 역량도 분산하는 모습이다.



통상 성수기 여름철이 낀 하반기를 앞두고 5월 전후 마케팅 기지개를 켜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올해 더위가 일찍 찾아와 4월부터 11월까지 길게 이어진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이른 시장 공략에 돌입한 분위기다.


3사 모두 대표 제품 위주로 새 옷 갈아입기에 나서며 일찌감치 전초전도 치르고 있다. 신규 디자인으로 패키지를 교체해 고객 주목도를 높여 구매 유인력으로 연결 짓는 것이 핵심이다.




오비맥주는 이달부터 카스 프레시·카스 라이트 등 카스 전 라인업에 로고 가독성 등을 살린 새 패키지를 입혀 판매하고 있다. 경쟁사인 최근 하이트진로도 청정라거를 표방하는 테라의 패키지 가독성 등에 초점을 맞춰 브랜드 리뉴얼을 단행했으며, 롯데칠성음료도 시각적 청량감과 재활용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크러시 1.6ℓ 투명 페트를 리뉴얼하며 맞불을 놓았다.


패키지 리뉴얼된 하이트진로의 맥주 브랜드 '테라' 캔 제품. 사진=하이트진로

▲패키지 리뉴얼된 하이트진로의 맥주 브랜드 '테라' 캔 제품. 사진=하이트진로

제품 디자인 재정비와 함께 각 회사마다 맥주 브랜드별 마케팅 활동 방향도 결정했다. 카스는 다양한 음악 페스티벌을 후원·주관하며 수요 몰이에 집중한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자체 대규모 야외 음악 콘서트인 '카스쿨 페스티벌' 개최도 예고했다.


오비맥주의 또 다른 맥주 브랜드인 한맥은 영화 마니아들을 집중 공략한다. 영화관·OTT플랫폼과 손잡고 이와 연계한 프로모션을 전개하거나, 소장 가치가 있는 이색 굿즈를 선보이는 방식이다.


오비맥주 관계자는 "연내 OTT를 통해 인기작 단독 재개봉, 영화 관련 협업 상품 출시, 주요 영화제 후원 등을 계획하고 있다“며 "홈 영화족을 겨냥해 영화 연계 굿즈 세트도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하이트진로는 테라의 대중성 확대를 위해 자체 캠페인 '테라 점프업 2025' 활동에 매진한다. 캠페인의 하나로 최근 신규 브랜드 모델로 배우 지창욱을 발탁하고 이와 연계한 TV광고로 소비자 눈길을 끌고 있다. 시장 세분화로 채널별 신규 품목 수(SKU)도 넓힌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소비자 음용 경험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기울인다. 최근에는 프로야구 시즌을 맞아 경기 관람차 영화관에 들린 방문객, 야구장 인근 호텔 숙박객 대상으로 맥주 브랜드 '켈리' 브랜드존을 운영하고 있다.


하이트진로 관계자는 “테라의 경우 지난해 출시한 제로슈거 맥주 테라라이트를 앞세워 각종 맥주 축제, 여름 성수기 지역 축제에 참가해 소비자 접점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 롯데칠성음료는 크러시에 '젊은 맥주' 이미지를 입히는데 주력하고 있다. 올해는 롯데 자이언츠·FC서울 등 유명 축구·야구 구단과 스폰서십을 맺고, 여러 경기 현장에서 소비자들을 만난다는 계획이다. 또, 저도수 트렌드를 반영해 연초 '클라우드 논알콜릭'을 새로 출시한 만큼, 신제품 띄우기를 위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도 수립하는 상황이다.


롯데칠성음료가 판매하는 맥주 브랜드 '크러시' 1.6ℓ 페트 제품. 사진=롯데칠성음료

▲롯데칠성음료가 판매하는 맥주 브랜드 '크러시' 1.6ℓ 페트 제품. 사진=롯데칠성음료


조하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