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3, 지난달 국내 543대 판매 기록
테슬라 제치고 단숨에 수입 EV 1위
하반기 씰·씨라이언 등 신모델 출시
현대차 등 AS 강화 ‘문단속’에 비상

▲BYD 씰 로고. 사진=이찬우 기자
중국 전기차 브랜드 BYD가 지난달 수입 전기차 판매 1위에 올랐다. 2000만원대라는 파격적인 저가 공세가 한국 시장서도 유효했던 것이다.
업계에선 월 1000대 판매 달성이 눈 앞이란 전망도 나온다. 사전계약 대기물량이 많이 남아 있는데다 하반기엔 씰, 씨라이언 등 신차도 출시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이에 국내 업계는 서비스 품질 강화로 대응에 나선다.
11일 한국수입차협회 4월 등록현황 자료에 따르면 BYD코리아는 지난달 543대 판매를 기록했다.
아토 3는 지난 달 2일 전기차 국고보조금 산정이 완료된 후 본격적인 고객 인도를 위해 철저한 차량 출고 전 검사(PDI), 각 딜러사 물량 배정, 구매 고객의 지자체별 보조금 신청 등의 과정을 거쳐 4월 14일부터 본격적인 출고가 시작됐다.
BYD의 인기요인은 단연 가격이다. BYD는 아토3의 가격을 3150만원(보조금 전)으로 책정하며 공각적인 전략을 내세웠다. 정부 보조금 적용 시 서울 기준 2000만원대 후반에 구매가 가능해 동급 국산 전기차보다 약 800만원 저렴하다.
이 같은 가격 경쟁력에 힘입어, 4월 수입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 모델Y(533대), 모델3(350대)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이는 기존 테슬라가 2023년 내내 1~2위를 지켜온 판도를 뒤집은 결과다. 뿐만 아니라 볼보 EX30, 폭스바겐 ID.4 등 경쟁 수입 전기차와 비교해도 두드러지는 초반 기세다.
아토3의 미래는 밝다. 집계된 사전계약 물량만 약 1500대로 아직 1000대 가량의 대기분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이에 5월에는 최대 1000대에 가까운 판매가 기대된다.
더불어 하반기엔 신차도 투입된다. BYD는 하반기 중형 전기 세단 '씰(Seal)'과 SUV '씨라이언7' 등 신차를 연이어 투입할 계획이다.
씰은 7월 국내 출시를 앞두고 있으며 4750만~5250만원(보조금 전)의 가격에 출시될 예정이다. 특히 씰은 82.56kWh의 LFP 블레이드 배터리를 사용해 1회 충전 시 최대 520km(WLTP 기준)까지 주행이 가능하며, 20~80%까지 약 30분 만에 충전할 수 있는 최대 150kW의 DC 충전을 지원하는 등 성능도 우수하다.
게다가 BYD는 올해 말까지 국내 전시장 수를 15개에서 30개로, 서비스센터도 25개로 늘릴 예정이다.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통해 중국 브랜드를 향한 불신을 잠재울 방침이다.
BYD의 승승장구에 국내 기업들도 방어선 구축에 나선다. 특히 '서비스 품질과 고객 지원 능력'을 승부처로 바라보고 BYD의 약점을 공략한다.
현대차그룹은 전국적 A/S 네트워크 강화, 전기차 전용 서비스센터 확대, 전문 인력 양성에 주력한다. 원격 진단과 OTA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 디지털 혁신을 통해 고객 편의성 증대 및 신속한 문제 해결 체계를 갖추고 있다.
또 무상 보증 기간 연장, 배터리 성능 보증 강화, 긴급 출동 서비스 확대 등 고객 부담 완화 정책도 적극 시행하고 있다.
중견 3사도 전기차 전용 서비스센터 확대, 무상 점검 프로그램 강화, 법인 고객 맞춤형 A/S 패키지 등 차별화 전략으로 BYD 공세에 대응 중이다.
조인철 BYD코리아 승용 부문 대표는 “마침내 국내 고객 여러분이 BYD와 함께하는 e-모빌리티 라이프를 경험하실 수 있게 되어 큰 보람을 느낀다"며 “국내 시장 내 전기차 대중화와 소비자 편의 증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