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원 “가맹점주·주주 이익되는 선순환 구조 만들겠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5.14 09:28

12~13일 미디어 간담회 개최 더본코리아 경영개선 피력

“가맹점 위기 신속 타개가 1순위” 300억 상생지원 재확인

한식소스 6월 출시, 신규 브랜드·메뉴 개발 “제2 창업기회”

유통·지역개발·해외 3대 과제 주력…“지켜봐 달라” 당부

지난 13일 서울 강남구 리춘시장 강남역점에서 열린 더본코리아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백종원 대표이사. 사진=더본코리아

▲지난 13일 서울 강남구 리춘시장 강남역점에서 열린 더본코리아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백종원 대표이사. 사진=더본코리아

“점주님들과 주주님들에게 정말 미안한 마음이다. 이번 위기를 함께 극복하고 더 나은 회사로 거듭나겠다."




지난 12~13일 열린 서울 강남구 리춘시장 강남역점에서 열린 미디어 간담회에서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이사는 이 같이 가맹점 성장·주가 부양을 위한 개선 의지를 밝혔다. 최근 여러 구설에 오르며 오너리스크가 불거진 데 따른 후속 조치에 나선 것이다.


백 대표는 “점주님들의 상황을 빨리 타개하는 것이 1순위 과제"라며 “석 달 간 300억원의 지원책을 가동해 상황을 개선하겠다 약속했다"고 말했다. 지난 8일 더본코리아는 300억원 규모의 가맹점 상생 지원 방안을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다만, 지원 대상에 빽다방이 제외됐다는 지적에 대해 백 대표는 “현재 브랜드 전반에 상생안을 구상하고 있고 차수별로 나눠서 지원할 예정"이라며 “브랜드별 상황에 따라 지원 규모나 형식도 달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해명했다. 빽다방은 멤버십을 활용한 충성 고객 확보 중심의 마케팅을 우선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오프라인 행사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백 대표는 원산지·위생 문제에 대한 지적에 대해서도 고개를 숙였다. 그는 “실제 잘못이 있던 부분은 물론, 인지하지 못해 발생한 문제들까지 모두 제 불찰"이라며 “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조금만 시간을 가지고 지켜봐 달라"고 당부했다.




백 대표는 위기를 제2의 창업기회로 삼는다는 의지도 밝혔다. 더본코리아는 지난해 전체 매출 중 가맹사업 비중만 86%에 이를 만큼 사업 의존도가 높아 기업 지속가능성에 물음표가 붙었다. 이 같은 사업 배경과 함께 그는 “유통 사업 확장으로 점주와 주주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비전을 피력했다.


한류 열풍에 힘입어 K-푸드 인기가 높은 점에서 해외 경쟁력 있는 한식 소스를 선보이는 것이 골자다. 수출용 소스 8종 중 6종은 개발 완료된 상태로, 나머지도 만들어가는 단계다. 해당 제품들은 온라인 판로를 통해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용으로 내놓는다.


백 대표는 “스리라차, 타바스코, 굴소스처럼 전 세계인들이 어디서나 한식 풍미를 느낄 수 있는 소스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독일의 한 대형 유통업체로부터 비빔밥 브랜드와 메뉴를 만들어달라는 의뢰도 받아 오는 6월 출시를 앞두고 있다"고 말했다.


지역 개발도 백 대표가 줄곧 눈여겨봐온 사업이다. 지역 축제를 발판으로 해당 지역에 거점을 마련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인다는 구상이다. 그는 지역 축제 기간 동안 부스를 운영하며 지역민들에게도 가치를 제공하는 점에서 상생 의미도 강조했다.


또, 백 대표는 지역 축제를 테스트베드로 가맹사업 확대를 위한 신규 브랜드 및 메뉴 개발도 꾀한다. 그동안 더본코리아는 외식 분야 경계를 허무는 브랜드 출시로 '문어발식 확장'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다만, 전과 같이 다브랜드 전략은 유지하며 브랜드 개발을 이어가되, 가맹점 수를 무리하게 늘리지 않겠다는 것이 백 대표의 입장이다.


백 대표는 “연간 성장률 12% 수준을 유지하며 성장을 추구하겠다"며 “지역 축제 등을 통해 여러 브랜드를 시험할 기회가 많아 새 브랜드 메뉴를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는 과정으로 의사결정 효율화를 위해 백 대표는 경영 방식과 소통 구조도 뜯어고치기로 했다. 이달 말 홍보팀과 감사팀 인력채용을 확정하고, 메뉴 개발 승인 과정도 한 달에서 일주일로 단축한다.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는 “상장하면서 그렸던 미래 비전인 지역 개발과 유통사업 확장, 해외 사업 확대로 장기적 성장과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해 노력하겠다"면서 “이를 통해 실적 개선을 이루면 배당 확대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조하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