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아닙니다”…SK에코플랜트 4년 만에 ‘脫건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5.20 15:28

1분기 비건설 매출 66.7% 차지, 하이테크 사업 매출 비중 44%
2020년 건설 매출 비중 95%에서 2021년 ‘친환경 에너지 기업’ 선언 후 급속히 ‘탈건설’
작년 10월 하이테크 부문 신설… 5월 반도체기업 자회사 편입

sk

▲서울 종로구 수송동 SK에코플랜트 본사 수송빌딩 사옥 전경. SK에코플랜트

SK에코플랜트가 SK건설에서 탈바꿈한지 4년 만에 비건설 부문 매출이 건설 부문 매출을 넘어섰다. 2021년 사명 변경 당시 전통적인 건설기업에서 친환경 에너지 기업으로 체질 전환을 선언한 이래 '탈 건설' 목표 달성에 성공한 것이다.




20일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SK에코플랜트 전체 매출 가운데 건설 부문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33.3%를 기록했고, 비건설 매출이 66.7%를 차지했다.


2024년 건설 부문 매출 비중이 57.4%를 차지했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 들어 3개월 만에 비건설 부문 매출이 절반 이상을 넘겨 3분의2를 초과했다.



1분기 비건설 부문 매출 비중 상승은 하이테크 부문이 주도했다. SK에코플랜트는 작년 10월 반도체 사업을 영위하는 하이테크 사업부문을 신설했다. 조직 개편 이후 첫 실적 성적표라고 할 수 있는 올해 1분기 하이테크 부문 매출은 전체 매출에서 44%를 차지해 가장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이 외에도 비건설 매출 현황을 각 사업부문 별로 살펴보면 환경사업 부문은 10.6%를 차지했고, 에너지사업 부문 매출이 12.1%를 기록했다.




SK에코플랜트가 'SK건설'에서 현재 사명으로 이름을 바꾼 2021년 5월 당시 SK에코플랜트는 전형적인 건설기업이었다. 2020년 건설부문 매출이 95.2%를 차지하는 등 매출의 대부분이 건설 사업에서 나왔다.


사명을 바꾼 2021년부터 SK건설은 적극적으로 에너지사업과 환경사업에서 보폭을 늘렸다. 그 해 11월, 해상풍력 플랜트 제조 및 조선·기자재 업체인 삼강엠앤티를 인수해 자회사로 편입시켰다. 그리고 SK에코플랜트는 새 사명 출범 첫 해 건설부문 매출 비중을 84.6%로 낮췄다.


2022년엔 2월엔 싱가포르의 전기·전자 폐기물 분야 기업인 테스(TES)를 인수하는 등 더욱 환경 및 에너지 사업에 박차를 가하면서 건설 부문 매출이 70.8%로 낮아졌다. 이후 2023년 건설 부문 매출 비중은 66.4%를 기록해 3분의 2수준까지 떨어졌다.


작년엔 건설 부문 매출 비중이 57.4%를 차지하면서 비건설 부문 매출 비중이 과반을 넘보는 수준까지 성장했다. 하반기엔 반도체 사업 조직을 신설하고 2025년 1~3월 하이테크 부문 매출 비중이 40%를 넘기면서 올 1분기 비건설 부문 매출 비중이 3분의 2까지 성장했다.


SK에코플랜트는 사실상 회사 매출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 반도체 사업 확장에 최근 더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달 모그룹 산하 반도체 소재 4개 기업(SK트리켐·SK레조낙·SK머티리얼즈제이엔씨·SK머티리얼즈퍼포먼스)을 자회사로 편입시키면서 오는 2분기 SK에코플랜트 전체 매출에서 하이테크 사업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SK에코플랜트 관계자는 “당사는 이제 완연히 친환경 에너지 및 반도체 종합 서비스 회사로 발돋움했다"며 “앞으로 반도체와 친환경 및 에너지 부문 등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는데 더욱 힘쓸 예정"이라고 말했다.



임진영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